냉매[refrigerants, 冷媒]

[요약] 냉동 사이클의 작동유체(作動流體)로서 저온의 물체에서 열을 빼앗아 고온의 물체에 열을 운반해 주는 매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냉동 사이클에서 열을 온도가 낮은 물체에서 높은 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열매체. 응축기, 냉동기를 비롯한 공업용 냉동 시스템에서 쓰인다.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작동유체(作動流體)이다. 일반적으로 냉매는 증발 또는 응축의 상변화 과정을 통하여 열을 흡수, 방출하는 1차 냉매와 단상상태에서 감열 열전달을 통하여 열을 교환하는 2차 냉매로 분류한다.
냉매로는 암모니아와 염화플루오린화탄소가 가장 많이 쓰인다. 냉동기용의 냉매로서는 프레온냉매,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염화메틸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프레온냉매가 많이 쓰이고 있다. 냉동기의 능력, 압축기의 형식(型式), 용도 등에 따라 각 특성에 알맞은 냉매를 선정함으로써 냉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냉매가 구비해야 할 조건은 ① 온도가 낮아도 대기압(大氣壓) 이상의 압력에서 증발하고 상온(常溫)의 저압에서 액화되며, ② 동일한 냉동 능력에서 소요 동력이 적고, ③ 임계온도(臨界溫度)가 높고 응고 온도가 낮으며, ④ 증발열이 크고 액체의 비열(比熱)이 작으며 증발열에 대한 액체 비열의 비율이 작아야 하며, ⑤ 같은 냉동 능력에서 냉매 가스의 용적(容積)이 작고, ⑥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⑦ 금속에 비부식성(非腐蝕性)이며 윤활유에 작용하지 않으며, ⑧ 점성도(粘性度)가 작고 전열율(傳熱率)이 좋으며, ⑨ 인화성·폭발성이 없고 인체에 해롭지 않고 악취(惡臭)가 나지 않아야 하며, ⑩ 누출(漏出)되면 발견하기 쉽고, ⑪ 가격이 저렴하여야 한다.
- 다음
- 넓적바닥 플라스크[flat bottomed flask] 2015.12.14
- 이전
- 냉각기[condenser, 冷却器] 2015.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