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점[equinoxes, 分點]

[요약] 천구상에서 천구의 적도와 황도가 만나는 두 교점을 말한다. 이 두개의 교점 중 태양이 천구의 적도를 남에서 북으로 가로지르는 점을 춘분점, 반대로 북에서 남으로 가로지르는 점을 추분점이라 한다.
관측자를 기준으로 360°의 모든 방위의 하늘을 천구라고 한다. 이 천구 위에서 태양이 지나가는 길을 황도라고 하며, 지구 적도를 천구까지 확장한 선을 천구의 적도라고 한다. 이때 이 황도와 적도가 만나는 지점을 분점이라고 한다.
태양이 분점을 지나는 시기는 1년에 총 2번이 있는데, 봄에 지날 때는 춘분점, 가을에 지날 때는 추분점이라고 한다. 이때는 밤과 낮의 길이가 동일하며, 이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24절기가 만들어졌다. 지구의 공전, 자전, 세차운동 등으로 인해 천구 상에서 황도와 적도는 계속 변한다. 따라서 위치는 매년 조금씩 바뀌게 된다.
- 다음
- 기린자리제트형변광성[Z-type variable star of Camelopardus] 2015.12.01
- 이전
- 부동점[steady point] 2015.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