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단[air mass, 氣團]

[요약] 정체성의 고기압에 의해 기온과 습도 등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이가 넓은 범위에 걸쳐 있는 것을 기단이라고 한다.
광대한 지역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성질을 가진 대기의 덩어리. 그 일부의 공기 덩어리를 가리킬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기압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지표면의 성질이 거의 같은 광대한 지역에 공기 덩어리가 상당한 기간 머무르면 대기의 온도나 습도의 수직분포가 지표의 물리적 성질의 영향을 받아 어느 일정한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하여 수평방향의 성질이 거의 같아지게 되어 기단이 발생한다.
1930년에 스웨덴의 기상학자 베르예론이 기단에 대한 정의를 확립 하고 분류했다. 많은 기단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세력과 세력권으로 변화한다. 기단의 세력변화나 확대, 수축에 따라 각각 지역에 특유의 기후와 기상현상이 생겨난다. 넓은 해양에 발달하는 기단은 일 년 내내 세력을 유지하는 기단인데, 이런 기단은 극히 적다. 대부분의 기단은 고기압이며 열대 수렴대에서 만들어지는 적도기단 등은 기압이 낮은 기단이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
- 다음
- 기단기후학[air mass climatology, 氣團氣候學] 2015.12.01
- 이전
- 기단 변질[modified air-mass, 變質氣團] 2015.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