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구름[cloud]

작성일 2015-11-30
[요약] 구름이란 물방울이나 작은 얼음입자가 모여서 하늘에 떠 있는 것으로 우리의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한다. 대기 중에 한데 모여 떠 있는 미세한 물방울 또는 빙정(氷晶). 보통 지면에 접해 있는 것을 안개라 하고, 그 밖의 것을 구름이라 하여 구별하지만, 산에 걸려 있을 경우에는 산구름 또는 산안개라고도 하며, 명백하게 구분되어 있지는 않다. 물방울이나 빙정 이외의 미세한 고체나 액체가 많이 모여 떠 있는 것같이 보일 때도 구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원자운 · 화산운 등이 그 예이다. 구름은 대기의 하층에 해당되는 대류권(對流圈) 안에서 관측되지만, 지상 75~90km 부근에서 볼 수 있는 야광운(夜光雲)이나 20~30km에서 볼 수 있는 진주운(眞珠雲)에 대해서는 자세한 관측을 하기 어려워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우주진이나 화산재가 모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름의 과학적 분류는 1803년 L. 하워드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에 의하면 ①층상(層狀) 구름, ②적운상 (積雲狀) 구름, ③권운상(卷雲狀) 구름의 3가지로 분류된다. 이것들이 기초가 되어 상세한 관측이 이루어짐에 따라 56년 국제기상회의에서 국제적으로 공통되는 구름도감이 발간되었고, 그 후 수차에 걸쳐 개정되어 왔다. 최근의 것은 1956년 국제연합의 WMO(세계기상기구) 발간의 국제 구름도감 (International Cloud Atlas)》이다. 국제적인 구름의 분류는 먼저 형태상으로 10종의 기본형과, 떠 있는 높이에 따라 상층운 · 중층운 · 하층운으로 구분되며, 이것은 다시 10종의 기본형으로 세분될 수 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