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배[gradient, 勾配]

[요약] 발생이 진행되고있는 개체로 알이나 유생등의 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공간적 분포이다. 생리적 활동이나 생화학적 반응, 화학물질의 농도 변화등이 속한다.
① gradient. 발생이 진행중인 한 개체, 즉 알이나 유배(幼胚), 경우에 따라 유생이나 성체중 어떤 특정의 양, 생리적 활동이나 생화학적 반응, 화학물질의 농도 등이 하나의 축을 따라 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양의 공간적 분포. 양서류에서는 동물극(動物極)과 식물극을 가르는 축, 즉 알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따라 난황량(卵黃量)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그 값은 동물극에서는 최소이고, 식물극 쪽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식물극에서 최대가 된다. 이러한 알의 난할기(卵割期)로부터 원장형성(原腸形成)이 시작되는 과정을 보면 세포의 크기에도 여기에 병행하는 구배가 있어서, 동물극에서 최소가 되고 식물극에서 최대가 된다.
이미 20세기 초에 독일의 T. 보베리는 성게알에 주축에 따른 일종의 구배가 존재하며 그것이 알의 다음 발생에 결정적인 의의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그 후 C. M. 차일드는 생리적 활동성, 특히 산화능력의 구배가 축성(軸性) 및 형태분화의 기본이라고 생각했다. 즉, 생리적 구배의 정점에서는 고도의 분화를 하는 조직기관이 형성되고 구배의 보다 낮은 수준에서는 다른 조직기관이 형성된다.
② slope. 비탈길이나 지붕 등의 경사면의 기운 정도. 특별히 지붕에 대해서는 「물매」, 비탈길 등의 구배는 「기울기」라고도 한다. 지붕의 물매는 각도가 θ일 때, tan θ의 값으로 나타낸다. 척관법(尺貴法)을 사용했을 때는 수평 길이 1자(尺)에 대해 높이가 5치(寸)일 때를 5치 물매라 한다. 지붕은 4치에서 5치를 물매 정도가 많았다. 비탈길의 기울기도 tan θ의 값으로 표시 하고, 1/50, 1/100 등 분수로 표시 한다. 철도의 선로 등은 그 경사각 8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sin θ로 표시한다.
- 다음
- 구북구[paleoarctic region] 2015.11.26
- 이전
- 구리효소[copper enzyme, -酵素] 2015.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