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공정제어[process control]

작성일 2015-11-25
[요약]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산공정에서 과정을 자동화시킨 다양한 조작을 말한다. 생산공정에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 과정을 자동화시킨 다양한 조작. 공정제어는 제철 · 석유 · 화학 등의 생산공정에서 생산 · 용역플랜트에서의 온도 · 압력 · 농도 등 공정상태의 변량(變量)의 자동제어에서부터 계산제어(計算制御)의 발전에 의해 제품의 품질 · 양(量)을 포함하는 플랜트 전체로, 나아가서는 물자와 에너지의 흐름을 중심으로 하는 공장 전체의 제어로 확대되었다.

공정제어는 보통 컴퓨터를 이용하며 그 이용 방식에는 직접계수제어(DDC)와 감시전산제어(SCC)가 있다. DDC시스템은 <표>와 같다. DDC는 컴퓨터가 과정을 묘사하는 모형에 의해 조작되는 변수의 값을 계산하여 출력장치를 통해 직접 공정에 적용한다. 조작변수의 예로는 온도·압력 등을 들 수 있다. 조작변수가 공정에 미치는 결과는 측정변수를 통해 나타난다. 이러한 측정값은 입력장치를 거쳐 컴퓨터로 다시 들어와 이에 따라 조작변수의 값이 다시 결정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위의 도표에 있는 컴퓨터는 대개 미니컴퓨터를 쓰며 그 하드웨어가 목적에 적합토록 만들어져야 하고 또 소프트웨어도 개발되어야 한다. 복잡한 공정일수록 소프트웨어 개발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입력시스템은 연속신호나 불연속신호를 다룰 수 있어야 하며 연속신호는 신호 변환기를 거쳐 기계에 입력된다. 출력시스템은 전압·순간파동 및 연속신호를 다룰 수 있어야 하며 전압출력은 불연속신호로 장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개폐에 쓰이고 연속신호를 보내려면 역시 신호변환기를 거쳐야 한다. 제어대는 조종자가 컴퓨터와 대화하는 데 쓰이며 제어대를 설계하는 데는 인간공학적인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SCC는 개별적인 여러 DDC에 의해 제어되는 큰 규모의 공정 전체를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공정 내부의 세세한 부분보다는 생산가격·생산품의 가치·원자재의 배합·생산품의 규격 등에 대한 고차원적인 입력을 통해 각개의 DDC가 수행해야 할 지침을 제시해 주는 구실을 한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