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포화[supersaturation, 過飽和]

[요약] 용액이 어떤 온도에서의 용해도에 상당하는 양보다 많은 양의 용질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이다.
포화 용액의 농도(용해도)보다 많은 물질이 용해되어 있거나 포화 수증기압보다 더 수증기가 존재하는 상태이다. 포화 용액 또는 포화 증기를 천천히 냉각시키거나 증발시킴으로써 용해도(용질을 용매에 녹일 때 일정량의 물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 이상의 용질이 포함된 과포화용액 또는 과포화증기를 얻을 수 있다.
같은 용질을 녹여 만든 용액이라면 과포화 용액이 순간적으로 포화용액이나 불포화 용액의 농도보다 더 진하다. 그러나 과포화는 오래 지속될 수 없다. 과포화는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그 계를 장시간 방치하거나 어떤 충격을 주면 결정이 석출하고 수증기가 응결하는 등의 변화를 일으키고, 평형 상태에 도달하여 안정화한다.
대기 중의 수증기압이 포화증기압보다 커져도 응결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과포화상태라고 하는데 보통 포화증기를 냉각한 경우에 발생한다. 과포화와 상대적인 개념으로는 포화에 미치지 못하고 계속되고 있는 상태인 불포화를 사용한다.
- 다음
- 과흡착[persorption, 過吸看] 2015.11.23
- 이전
- 과아이오딘산[periodic acid, 過─酸] 2015.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