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명혼성체[resonance hybrid, 共鳴混成體]

[요약] 1분자 구조를 2개 이상의 극한구조 중첩에 의해 나타낼 수 있을 때의 혼성체를 말한다.
한 분자의 구조를 두 개 이상의 극한구조의 중첩에 의해 표시할 수 있을 때 이를 공명혼성체라 한다. 예를 들면,
염화수소는
벤젠은
아닐린은
등으로 표시되는 공명혼성체이다.
벤젠에서 탄소원자까지의 간격은 1.4Å이며 C-C결합의 1.54Å과 C=C결합의 1.33Å의 중간값이다. 이와 같이 극한구조의 중첩이 미치는 영향을 공명효과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생각을 L. 폴링은 공명설로, C. 잉골드(1893~1970)는 메소메리 이론(mesomeric theory) 으로 거의 동시에 제창했다. 특히 불포화결합이나 비공유전자쌍을 가지는 원자를 함유하는 분자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공명혼성체의 개념에 의해 잘 설명할 수 있다.



- 다음
- 공비[azeotropy, 共沸] 2015.11.20
- 이전
- 공명 구조[resonance structure, 共鳴構造] 2015.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