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용굴절계

굴절계는 광물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기계로, 굴절률을 알고 있는 유리에 시료를 접촉시켜 임계각을 측정하여 굴절률을 구한다.
광물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기계. 원리는 풀프리히 굴절계와 같다. 기지(旣知)의 굴절률을 가진 기준 유리의 표면에 시료(試料)의 연마면을 접촉시켜 그 경계면의 임계각(臨界角)을 측정하여 굴절률을 구한다.
풀프리히 굴절계는 기준 유리로 프리즘을 사용하지만, 광물용 굴절계는 그림에 표시된 전면을 연마한 반구형(半球形)의 유리 H를 사용하고 있다. 겨우 입사되는 입사각에 대한 임계각, 또는 전반사에 의한 임계각을 망원경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각으로 측정한다. 회전각은 원주(圓周) 도수 눈금 C와 부척(副尺) V로 읽는다.
또 결정체는 빛이 지나는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시료를 유리 H 위에 놓은 채로 수직축 주위를 회전시켜 측정한다. 그 회전각은 원주 도수 눈금 C’와 부척 V’로 읽는다. 망원경계(系)는 유리 H의 구면(球面)의 렌즈 작용을 참작하여 만들어져 있다.
- 다음
- 광물학[mineralogy, 鑛物學] 2015.11.19
- 이전
- 광물상[mineral faces of metamorphic rocks, 鑛物相] 201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