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상[mineral faces of metamorphic rocks, 鑛物相]

[요약] 화성암이나 변성암이 평형상태에서 생성된 경우 그 광물조성은 물리적 조건(온도·압력 등)과 화학적 조성에 따라 결정되며 그 중에서 물리적 조건만을 몇 가지 적당한 범위로 구분한 것을 광물상이라고 한다.
화성암이나 변성암이 평형상태에서 생성된 경우 그 광물조성은 물리적 조건(온도·압력 등)과 화학적 조성에 따라 결정되며 그 중에서 물리적 조건만을 몇 가지 적당한 범위로 구분한 것을 광물상이라고 한다. 같은 범위 내의 조건에서 생성된 암석은 화학조성에 차이가 있으면 광물조성도 다르지만 동일한 광물상에 속한다고 한다.
광물상의 이론은 P. 에스콜라가 제창한 것으로 문제로 삼은 암석이 화성암일 때는 화성상, 변성암일 때는 변성상이라고 한다. 특히 변성상인 여러 상은 지각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가리키는 데 잘 쓰인다. 이를테면 보통 화학조성인 암석에서 남섬석이 나오는 광물상(물리적 조건의 범위)을 남섬석편암상, 염기성암이 각섬암이 되는 광물상을 각섬암상이라고 한다. 변성상인 경우 물리적 조건의 인자로서는 온도와 압력 외에 H₂O나 CO₂의 화학포텐셜이 중요하다.
- 다음
- 광물용굴절계 2015.11.19
- 이전
- 광물[mineral, 鑛物] 201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