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관성류[inertial current, 慣性流]

작성일 2015-11-19
[요약] 관성류는 해수(海水)나 대기의 수평운동의 하나. 관성진동이라고도 한다. 북반구에서는 코리올리 힘이 오른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관성류는 시계방향으로 돈다. 해수(海水)나 대기의 수평운동의 하나. 관성진동이라고도 한다. 대기나 해수에 외력 ·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고 코리올리 힘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등속 원운동. 원심력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코리올리 힘은 운동방향에 대해서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작용하므로 관성류는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 된다. 이 원을 관성원, 일주에 요하는 시간을 관성주기라 한다. 관성주기를 T, 관성원의 반경을 r, 코리올리의 계수를 f, 원주방향으로의 빠르기를 V라 하면 관성류 가 된다. 주기 T는 극에서 12시간, 위도 30°에서 24시간, 적도에서 무한대가 된다. 이 주기는 반진자일(半振子日)과 같다. 위도 40°에서 V가 매초 1cm, 10cm, 100cm에 대해, 반경 r는 각기 106cm, 1,060m, 1만 600m가 된다. 관성류는 흔히 발생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나 바다의 표층에서는 다른 종류의 운동이 강하기 때문에 관성류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심층에서는 흔히 관측된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