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경도풍[gradient wind, 傾度風]

작성일 2015-11-18
[요약] 경도풍은 지상 1km 이상에서 등압선이 원형인 경우, 기압경도력과 전향력(轉向力:코리올리힘), 원심력의 세 힘이 균형을 이룰 때 등압선에 평행하게 부는 바람이다. 기압기울기에 의한 힘이 코리올리의 힘과 원심력의 합력과 평형을 이루어 정상적으로 부는 바람으로, 바람을 불게 하는 세 가지 힘인, 기압경도력, 전향력, 원심력을 고려해야 한다. 이 세 가지 힘이 균형을 이루며 부는 바람을 경도풍이라고 한다. 경도풍은 등압선을 따라 불고 등압선이 직선형일 때는 지균풍이 된다. 등압선이 곡선일 때는 공기의 경로도 그것에 따르므로 원심력이 생기고 [그림 1]처럼 고기압일 때는 코리올리의 힘과 반대 방향이 되므로 경도풍은 지균풍보다 세며, 저기압에서는 역관계가 되어 약하다. 고기압의 기압기울기가 어느 값 이상으로 커지면 이 평형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고기압은 어느 한도 이상으로는 발달하지 못한다. 경도풍에 의한 정류상태의 안정성은 관성안정도로 판정된다. 실제로는 지면과의 마찰영향이 있으므로 북반구의 저기압 주위 풍향은 [그림 2]의 소용돌이처럼 되고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가 된다.

다음
경망간광[psilomelane] 2015.11.18
이전
경도[longitude, 經度] 2015.11.18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