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가스 교환[exchange of gas, ─交換]

작성일 2015-11-13
[요약] 동물체에 있어서 기체의 출입, 특히 호흡에 따르는 기체의 출입. 즉, 산소를 폐로 받아들이는 것과, 물질대사의 산물인 이산화탄소(탄산가스)가 폐 또는 피부로부터 배설하는 것의 쌍방 또는 한쪽을 말한다. 가스대사(代謝)의 과정이다. 호흡을 통해 체내에 필요한 산소를 흡수하고, 대사과정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내보내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체내의 가스교환은 크게 외호흡과 내호흡으로 구분한다. 외호흡은 허파로 유입된 공기와 혈액 간의 가스교환으로, 폐포에서 모세혈관으로의 산소의 흐름을 뜻한다. 내호흡은 조직세포와 혈액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가스대사이다. 허파에서 일어나는 외호흡이나, 몸의 각 조직에서 일어나는 내호흡 모두 혈액을 통하여 물질교환을 성사시킨다. 혈액이 온몸을 순환하며 물질의 전달과 운반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영양소가 조직 내에서 산화되는 양식은 공기 중에서 물질이 불꽃을 내며 타서 산소와 직접 결합하는 반응이 아니고 분해 도중에 여러 가지 효소(酵素)가 관여하여 산화 분해하는 중간대사(中間代謝)의 과정이 존재한다. 거기서 영양물질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차례로 방출하면서 마침내는 물과 이산화탄소나 비휘발성 물질인 요소(尿素)나 요산(尿酸) 등으로 분해된다. 그 한 예를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C6H12O6 + 6O2 → 6CO2 + 6H2O 여기서 필요로 하는 산소는 공기에서 흡기(吸氣)에 의해 폐에 흡수되고, 이산화탄소는 폐에서 호기(呼氣)에 의해 공기 중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체내 에너지 소비의 수지 균형은 호흡가스의 대사로 유지할 수가 있다.

[가스 교환]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