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 단열 감률[dry adiabatic lapse rate, 乾燥斷熱減率]

[요약] 수증기가 불포화 상태인 공기 덩이가 팽창해서 대기 중을 단열적으로 상승할 때 내려가는 온도의 비율을 건조 단열 감률이라고 한다.
수증기가 불포화 상태인 공기 덩이가 팽창해서 대기 중을 단열적으로 상승할 때 내려가는 온도의 비율을 건조 단열 감률이라고 한다. 1000m 상승할 때마다 9.8도씩 내려가므로 기온감률은 9.8°C/1000m가 된다.
공기 덩이는 상대 습도가 100%보다 낮거나 그 공기의 실제 기온이 이슬점보다 높다. 단열은 그 건조공기가 주변과 열 교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공기의 열전도율은 작고, 또 공기 덩이의 체적은 매우 크므로, 열전도율에 의한 교환은 무시해도 될 정도로 작다. 건조단열감률을 실제의 기온 감률과 비교하면 대기 안정도를 알 수 있다.
- 다음
- 건조 단열 변화[dry adiabatic change, 乾燥斷熱變化] 2015.11.10
- 이전
- 건조 기후[dry climate, 乾燥氣候]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