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거성 계열[giant sequence]

작성일 2015-11-10
[요약] 거성은 유효온도가 같을 경우 주계열성에 비하여 광도와 반경이 확연히 큰 상태의 항성을 일컫는다. 거성 계열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는 주계열성에 비해 오른편 위쪽의 Ⅱ 또는 Ⅲ형에 자리하며 스펙트럼형은 대부분 G, K, M형을 나타낸다. 거성은 유효온도가 같을 경우 주계열성에 비하여 광도와 반경이 확연히 큰 상태의 항성을 일컫는다. 거성의 광도는 태양의 최소 10배에서 최대 1,000배이며 반지름은 10~100배이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중심부에 있던 수소를 대부분 태우고 주계열 단계를 지나면 거성으로 진화한다. 주계열성이 광도와 온도가 높을 경우에 거성으로 부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주계열 상태를 떠나서 밝기와 반경이 두드러지게  큰 상태를 일컫는다. 이런 거성 계열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는 주계열성에 비해 오른편 위쪽의 Ⅱ 또는 Ⅲ형에 자리하며 스펙트럼형은 대부분 G, K, M형을 나타낸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