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성 계열[giant sequence]

[요약] 거성은 유효온도가 같을 경우 주계열성에 비하여 광도와 반경이 확연히 큰 상태의 항성을 일컫는다. 거성 계열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는 주계열성에 비해 오른편 위쪽의 Ⅱ 또는 Ⅲ형에 자리하며 스펙트럼형은 대부분 G, K, M형을 나타낸다.
거성은 유효온도가 같을 경우 주계열성에 비하여 광도와 반경이 확연히 큰 상태의 항성을 일컫는다. 거성의 광도는 태양의 최소 10배에서 최대 1,000배이며 반지름은 10~100배이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중심부에 있던 수소를 대부분 태우고 주계열 단계를 지나면 거성으로 진화한다. 주계열성이 광도와 온도가 높을 경우에 거성으로 부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주계열 상태를 떠나서 밝기와 반경이 두드러지게 큰 상태를 일컫는다. 이런 거성 계열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는 주계열성에 비해 오른편 위쪽의 Ⅱ 또는 Ⅲ형에 자리하며 스펙트럼형은 대부분 G, K, M형을 나타낸다.


- 다음
- 건기[dry season] 2015.11.10
- 이전
- 거문고자리베타형변광성[β Lyr type variable, ─型變光星]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