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강우차단[interception of rainfall, 降雨遮斷]

작성일 2015-11-10
[요약] 강우차단이란 강우량 중 일부가 식물군락의 엎이나 줄기에 부착되어 지표에 도달하지 않고 강우 중 또는 강우 후에 증발되는 현상으로, 강수차단(降水遮斷)이라고도 한다. 강우량 중 일부가 식물군락의 잎이나 줄기에 부착되어 지표에 도달하지 않고 강우 중 또는 강우 후에 증발되는 현상. 강수차단(降水遮斷)이라고도 한다. 특히 삼림의 수관(樹冠) · 줄기 및 가지에 의한 강우차단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강우차단량은 부착수량(附着水量)과 강우 중의 증발량의 합이다. 보통의 강우에서는 내리기 시작하고 30분 이내에 부착수량은 포화한다. 그 양은 무성한 삼림에서는 1.5mm 내외, 최대 3mm로 생각보다 적다. 강우 중의 증발량은 강우간과 더불어 증대하지만, 강우 중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대단한 양이 못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차단율은 소량의 강우 때는 100%에 가까운 대단히 큰값이 되지만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저하되어 30mm의 강우에는 20% 이하가 된다. 홍수를 일으키는 수백 mm의 강우에서 강우차단량은 하천의 증수(增水)를 방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