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계[rainfall meter, 降雨計]

[요약] 강우계란 우량, 강우강도 등 강우현상을 측정하는 계기로, 우량계로는 전도승형 우량계(轉倒升型雨量計), 강우강도계로는 점적형 강우강도계(點適型降雨彈度計)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우량, 강우강도 등 강우현상을 측정하는 계기. 우량계로는 전도승형 우량계(轉倒升型雨量計), 강우강도계로는 점적형 강우강도계(點適型降雨彈度計)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점적형 강우강도계는 물받이에 들어간 빗물을 일단 작은 탱크에 보내고 이 탱크에서 사이펀을 통해 흘러나오게 하면 빗물이 일정한 크기의 물방울이 되어 떨어진다. 이 물방울을 일정 시간 재서 강우강도를 구한다.
감우기(感雨器)에는 일정한 간격(실례를 들어 0.5mm)을 두고 배열한 전극(電極)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이것을 약간 기울여서 빗방울이 흐르기 쉽게 노장(露場)에 설치한다.
비가 와서 빗방울이 전극 사이에 떨어지면 그 사이의 전기저항이 급격히 저하 되므로 이것을 검지(檢知)하여 비가 왔다는 것을 안다.
강우강도계의 물방울의 크기는 강수량으로 0.0083mm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물방울을 1분간 재서 한 시간의 강수량으로 환산한 강우강도를 구한다. 예를 들면 1분간에 10방울이었다고 하면 0.0083mm×10×60≒ 5로서 5mm/h의 강우강도가 된다.
강우기는 지름 20cm의 전기 절연물인 원판(圓板) 위에 전극을 0.5mm 간격으로 배열한 것이다. 이 원판의 뒷면은 전열기로 가열하여 떨어진 빗방울이 빨리 증발하여 다음 빗방울의 검지에 대비한다.


- 다음
- 강우량[amount of rainfall, 降雨量] 2015.11.10
- 이전
- 강우[rainfall, 降雨]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