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강수량[amount of precipitation, 降水量]

작성일 2015-11-10
[요약] 강수량이란 지표면에 떨어진 강수의 양으로서 비, 눈, 우박, 서리, 이슬 등을 포함한 양을 나타낸다. 대기에 포함된 수분이 작은 물방울이나 작은 얼음 결정 등이 되어 땅에 떨어져 내리는 것을 강수라고 한다. 비, 눈, 우박, 서리, 이슬 등이 모두 강수인데 이 강수의 양을 강수량이라고 한다. 어느 기간 동안 강수가 흐르지 않고 증발하지 않고 지면 등에 스며들지 않는 상태에서의 깊이를 측정한다. 즉, ‘1일에 100㎜의 강수량’은 ‘1일에 비가 10㎝까지 내렸다’는 뜻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름이 20㎝인 우량계를 사용한다. 강수량은 측정값과 함께 측정 장소와 시간, 기간을 함께 표시한다. 단위는 ㎜로 표시하는데 나라에 따라서는 inch를 쓰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비가 많이 와 연강수량의 50~60%를 차치한다.

다음
강옥[corundum, 鋼玉] 2015.11.10
이전
강수[precipitation, 降水] 2015.11.1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