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대토양[intrazonal soil, 間帶土壤]

[요약] 간대토양은 기후나 식생(植生)의 인자(因子)보다도 국지적인 환경인자의 영향을 받아 성대분포(成帶分布)를 보이지 않는 토양. 성대내성(成帶內性) 토양이라고도 한다.
기후나 식생(植生)의 인자(因子)보다도 국지적인 환경인자의 영향을 받아 성대분포(成帶分布)를 보이지 않는 토양. 성대내성(成帶內性) 토양이라고도 한다. 이 토양의 성인에는 요지(凹地)나 저지의 지하수처럼 국지적 조건에 의해 토양의 생성을 좌우하는 인자가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와 모재(母材) 자체가 기후인자의 영향에 대해 순응하지 않고, 특수한 토양형이 되는 경우가 있다.
전자는 얕은 지하수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글레이층(gley 層)이 생기고 무기질인 글레이토와 이탄토(泥炭士) · 흑탄토 등의 유기질 토양으로 분류된다. 또 건조분지의 염류토(鹽類士) · 알칼리토도 이에 속한다. 후자에 속하는 간대토양으로는 석회질 모재에서 발달한 테라로사 · 렌지와 화산회를 모재로 발달한 화산회토 등을 들 수 있다.
- 다음
- 간동유적[Ngandong remains] 2015.11.10
- 이전
- 간극수[pore water]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