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지름[angular diameter, 角─]

[요약] 지구에서 관찰자가 본 행성(行星), 항성(恒星) 등의 겉보기 지름을 각지름이라 한다.
지구에서 관찰자가 본 행성(行星), 항성(恒星) 등의 겉보기지름을 각지름이라 한다. 시지름, 시직경 또는 각직경이라고도 부르며 각도 단위인 초(″) 또는 분(‘) ·도(°)로 표시한다. 각지름은 시차, 대기차, 빛이 번지는 영향 여러 관측 요인 등에 따라 지구 중심과 천체의 기하학적 관계에서 산출되는 결과와 차이가 날 수 있다.
지구에서 가까운 태양이나 달은 거리와 각지름을 알면 그 전체 크기를 구할 수 있고 항성의 각지름을 알면 유효온도를 얻을 수 있다. 태양과 달의 각지름은 0.5도 정도이며 태양을 제외한 항성의 각지름은 0.05″을 넘는 일은 드물고 거리가 멀수록 각지름은 작아진다.
각지름은 항성 물리학(恒星物理學)에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므로 각지름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간섭계(干涉計)가 고안되었다.
윌슨산 천문대의 들보형 항성간섭계를 사용하여 1930년경에 몇 개의 저온초거성(低溫超巨星)의 각지름(0.05″ 내지 0.02″)이 측정되었으며 66년 이래 호주의 나라브라이 관측소의 강도간섭계(彈度干涉計)로 베가 · 시리우스 등 주계열별을 포함하는 0.01″ 이하의 각지름도 측정되었다.

- 다음
- 각층관측[serial observation, 各層觀測] 2015.11.10
- 이전
- 각은광[cerargyrite]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