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개구수[numerical aperture, 開口數]

작성일 2015-11-04
[요약] 현미경의 해상력을 결정하는 수이다. 대물렌즈를 통과한 빛과 광축이 이루는 최대각과 대물렌즈와 시료 사이의 매질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정의된다. 이 값이 클수록 현미경으로 분별 가능한 최소의 길이는 작아진다. 광학기계에서 입사눈동자의 반지름이 물점에서 펴는 각 u의 사인과 물체공간의 절대굴절률 n의 곱 n sin u를 개구수라고 한다. 기호는 NA. 현미경인 경우에는 서로 분리하여 알아볼 수 있는 두 점의 최단간격은 개구수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높은 배율로 작은 간격인두 점을 분리해 보려고 할수록 개구수를 크게 해야 한다. 개구수를 크게 하려면 un을 크게 한다. 첫째의 경우는 집광기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경우는 액침법에 따른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