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국내·외 보안위협, SW패치 등이 한 곳에! 사이버 보안 취약점 정보 포털 서비스 본격 개시

작성일 2022-03-23

사이버 보안 취약점 정보 포털 서비스 본격 개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 이하 ‘KISA’)과 함께 국가 차원에서 국내‧외 보안 취약점을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고 수집된 정보를 다양한 이용자가 편리하게 확인‧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보안 취약점 정보 포털*(이하 ‘취약점 정보 포털’)’ 서비스를 3. 24(목)부터 본격 개시합니다.

보안 취약점 정보 포털 홈페이지 메인 화면

사이버 위협의 주요 요인인 보안 취약점은 무엇보다 신속하게 발견하여 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기존에는 취약점 정보와 조치 방법이 각 제조사별 홈페이지에 산재되어 있어 이용자가 신속하게 취약점 정보를 확인하여 조치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과기정통부(KISA)는 국내·외에 공개된 다양한 보안 취약점 정보와 함께 제조사에서 배포하는 패치 정보* 등을 취약점 정보 포털에서 한데 모아 제공하는 환경을 구축하여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취약점 정보를 활용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기존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던 보안취약점 등을 안전하게 보완한 정보 등

보안 취약점 정보 포털 홈페이지 '취약점 정보 공유' 카테고리 화면

이번에 개시하는 취약점 정보 포털은 제조사의 보안 SW 패치 정보, 국내‧외 보안취약점 정보 등 20만 여건의 정보를 보유 중으로 이용자는 언제든지 취약점 정보 포털에 접속하여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채널(C-TAS 2.0)을 가입‧활용하는 기업은 악성코드 등 위협정보, 최신 동향과 더불어 취약점 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상세 취약점 분석 정보도 실시간 공유할 수 있게 되어 기업의 대응력을 더욱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울러, 취약점 정보 포털에서는 가상의 기업환경에서 화이트 해커 등을 통해 자사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발굴할 수 있는 ‘핵 더 챌린지* 플랫폼’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해당 플랫폼은 서비스 신청한** 기업의 개발 중이거나 실제 운영 중인 서비스를 취약점 정보 포털에 개방하여 화이트 해커가 취약점을 발굴할 수 있게 하고 이 과정을 통해 발견된 보안 취약점은 해당 기업에 제공되어 보안패치 등 후속 조치가 이루어집니다.

* 기업이 필요한 제품‧서비스를 선정해 취약점 발굴을 한시적 허용하는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 보안 취약점 포털(knvd.krcert.or.kr) → 기업 및 기관 → 개방형 분석 플랫폼 메뉴를 통해 신청

과기정통부 김정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국내·외 취약점 정보를 종합하여 제공함으로써 해킹 등 사이버 위협에 대한 민간의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밝히며, “아울러, 다양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보안 취약점을 발굴할 수 있는 환경도 마련하여 국내 보안 전문 인력의 전문성도 한층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 가입문의

(한국인터넷진흥원)

☎ 02-405-4945

ctashelp@krcert.or.kr

▼사이버보안 취약점 정보포털 바로 가기▼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로그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