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식물도 적응한다...광합성 능력 조절
*이미지 클릭 시 해당 영상으로 이동됩니다*
지구가 점점 더워지고 있는 가운데, 식물이 지구 온난화 속에 살아남기 위해 적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높아진 기온에 맞춰 광합성 능력을 조절하는 건데, 특히 물이 충분한 곳에서 이런 특성이 도드라졌습니다.
[기자]
식물의 광합성은 온도가 올라가며 증가하다, 특정 온도보다 높아지면 감소합니다.
광합성이 가장 잘 되는 온도를 '최적 온도'라고 하는데
식물 군락의 최적 온도가 지구가 점점 더워짐에 따라 함께 올라간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추운 툰드라, 온대기후의 농경지와 열대우림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2백여 곳의 '플럭스 타워'로 관측한 결과입니다.
플럭스 타워는 긴 기간 동안 탄소가 얼마나 방출, 흡수되는지 계산하는 '에디 공분산'을 이용합니다.
식물 군락은 온도가 올라가자 광합성 능력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향상했습니다.
[류영렬 /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 점점 상승하는 온도에 대해서도 본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광합성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광합성이 떨어질 수도 있을 텐데 광합성 능력을 점점점점 상승하는 기운에 따라서 향상시키면서….]
다만 폭염과 가뭄 같은 열과 수분의 극한 상황에서는 이런 능력을 잃어버렸습니다.
물이 부족한 아프리카 초원지대에서 기온 적응 능력이 떨어지고, 사람이 관리하는 농경지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영렬 /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 광합성의 순응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폭염이나 가뭄 같은 교란, 자연적인 변화가 왔을 때는 그런 광합성 향상 능력이 발휘하지 못할 겁니다.]
식물이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스스로 균형을 잡아가는 놀라운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인간 활동은 이 같은 자정 능력조차 무력화시킬 수 있다고, 연구자들은 경고합니다.
올해 지구 평균온도는 기후 재앙 마지노선인 1.5℃를 이미 넘어섰습니다.
YTN 장아영입니다.
#지구온난화 #광합성 #식물적응 #기후변화 #플럭스타워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다음
-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고사 위기...우리 손으로 극복한다! 2024.11.21
- 이전
- YTN-SWINK, 학습용 교육 콘텐츠 보급·확대 위해 힘 합쳐 2024.11.20
댓글 남기기
전체 댓글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