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도부터 수능시험 2차례 실시

2014학년도부터 수능시험 2차례 실시
[앵커멘트]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대학에 들어가는 2014학년도부터는 1년에 한번 치르는 수학능력 시험을 두차례로 늘려, 좋은 점수를 인정해주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국어,영어,수학은 쉬운 시험과 어려운 시험으로 난이도를 달리해 수험생이 자신의 수준에 맞춰 시험을 치를수 있게 됩니다.
[리포트]
2014학년도 대입제도 개선안이 제시됐습니다.
이번 개선안의 핵심은, 수학능력시험을 1년에 두번 치른다는 겁니다.
11월에 보름 간격으로 2차례를 보는데, 영역별로 더 나은 점수를 골라 대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두 시험의 난이도가 달라지면 문제가 생길 수 있어, 표준점수 계산 방식도 함께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백순근, 중장기대입선진화연구회 ##수능체제개편 분과위원장]
"학생들이 수능을 보는 당일날에 갖는 과도한 부담을 경감하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2번 원할경우 2번까지 한 해 칠 수 있도록..."
또, 국어와 영어, 수학은 시험 난이도를 각각 A와 B, 2단계로 나뉘어 출제하기로 했습니다.
B형은 현재의 수능 수준으로 출제하지만, A형은 출제 범위를 줄이고, 문제도 상대적으로 더 쉽게 내, 학생들이 문과와 이과 전공에 맞춰 시험수준을 선택, 응시하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현재 최대 각각 4개까지 선택할 수 있었던 탐구영역 응시과목 수도 1개로 줄이고, 제2 외국어와 한문은 아예 수능과목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교과부는 수험생의 부담과 사교육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일선 교사들은 국영수만 강조한 개편안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뷰:김대훈, 경기도 안산시 원곡고등학교 지리교사]
"국어와 영어와 수학은 A,B 체제로 다시 또 나눠져가지고 오히려 더 강화되는 추세고요 과학탐구와 사회탐구는 1과목으로 축소되는 형태예요. 국영수를 제외한 나머지 과목들은 의미가 사라질 것이고요. 그러면 학교 교육은 더욱 더 파행성이 될 것이고요."
전교조 역시 "대학이 난이도가 어려운 쪽을 선호할 가능성이 커 난이도 차별화는 유명무실해 질 것이고, 수능을 2번 보는 것도보름 짜리 수능대비 전략상품을 낳아 사교육 시장만 더 커질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이에 대해 교과부는 충분한 논의를 거친 만큼 내부 절차를 거쳐 올해 말 개편안을 최종 확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Copyrights ⓒ YTN Science 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멕시코만 해저에 35km 길이 기름기둥 생성 2010.08.23
- 이전
- 14일 간의 1,750km 해양 대장정 완주 2010.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