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행성 찾기 프로젝트 본격화!

외계행성 찾기 프로젝트 본격화!
[앵커멘트]
우주 속에서 태양계를 닮은 외계 행성계를 찾는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창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우리 연구진도 생명체가 있는 외계행성 찾기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 천문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고 있습니다.
[리포트]
대덕연구단지 한국천문연구원.
미국 애리조나주 레몬산천문대 천체망원경을 원격조정해 외계 행성을 찾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자동추적장치를 통해 태양계를 닮은 행성을 찾는 연구가 주요 목표입니다.
지난 해 2월, 두 개의 태양을 가진 외계행성계를 발견한 것도 우리 연구진의 개가입니다.
두 별로 이뤄진 쌍성 주위에서 생성된 뒤 이 두 별의 격렬한 진화 과정 속에서도 살아남은 2개의 외계 행성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것입니다.
[인터뷰:김승리,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부]
"외계 행성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는데, 그것은 외계 생명체와 직접 연관이 돼 있고 어떤 행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는지 그런 행성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계는 모두 450여 개.
우리 나라 연구진이 발견한 행성계는 10개에 불과하지만 태양계와 닮은 외계 행성계를 발견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중력렌즈 방법을 사용해 지구와 비슷한 외계 행성을 찾는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박병곤,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본부장]
"중력렌즈 방법을 쓰면 큰 것보다는 작은 것 찾는 것이 유리하고 그래서 세계적으로 경주하고 있는 지구형 행성찾기 여기에서 우리가 장점이 있다고 말씀을 드릴 수 있죠."
우리 연구진이 지난 2008년 발견한 태양계와 아주 닮은 외계 행성계는 궁수자리 방향, 즉 우리 은하계의 중심 방향에서 약 5,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외계행성 찾기 프로젝트는 우리의 천문 관련 기술과 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거대망원경 GMT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천문연구원.
향후 2m급 탐색 전용 망원경 건설 등을 통해지구형 외계행성 찾기 프로젝트의 선봉 역할에 나서는 등 우주를 향한 꿈을 다져 나가고 있습니다.
- Copyrights ⓒ YTN Science 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자동 실행 PC만 천 대...게임 머니 공장 2010.05.31
- 이전
- 예쁘다고 아무꽃이나 먹으면 안돼요! 201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