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사이언스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YTN사이언스

64

달 정복을 향한 각국의 치열한 '문 서바이벌' 현황까지, 이성문 우주로테크 대표와 '알면이득'에서 확인해보자.

146

*이미지 클릭 시 해당영상으로 이동됩니다* 00:34 ■ VR로 테마 조형물을 기획하다 ▶full영상 : 축제 현장을 빛내는... 03:13 ■ 모세관 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실험 ▶full영상 : 광합성을...

213

■ 이성수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광주센터 책임연구원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일흔 번째 주인공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광주센터의 이성수 책임연구원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17.5%(2022년 기준)로, 이미 고령사회로 들어왔다.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우리나라에서 노화 연구는 필수 연구 분야가 되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이성수 박사는 작은 생명체를 통해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며, 노화로 인한 질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성수 박사는 빛에 투과된 세포 소기관 각각의 굴절률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는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현미경’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실시간으로 관찰한다. 기존에는 고정화와 형광염색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하기가 어려웠는데,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현미경을 통해 전처리 과정 없이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150

24:04 ■ 3차원 무동력 비행체를 만드는 과정 ▶full영상 : https://youtu.be/PqK2CyQAVpc 21:41 ■ 중국 배터리가 K-배터리를 이길 수 있었던 이유 ▶full영상 : https://youtu.be/NG-Z1-nnWbs 17:31 ■ 일본에 의존했던 은 잉크를 대체할 구리-그래핀 잉크 ▶full영상 : https://youtu.be/F_JGM57T8C4 14:11 ■ 리튬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는 건식 응용 방식 ▶full영상 : https://youtu.be/NG-Z1-nnWbs 10:39 ■ 숯으로 천연가스를 만든다? ▶full영상 : https://youtu.be/ZMov7GwYZl8 06:38 ■ 실리콘 음극재의 보호장치 역할을 하는 그래핀 ▶full영상 : https://youtu.be/F_JGM57T8C4 04:06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만드는 과정 ▶full영상 : https://youtu.be/1KG-fMbN4FE 01:11 ■ 차세대 태양전지를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연구 ▶full영상 : https://youtu.be/1KG-fMbN4FE

140

■ 우충완 / 기초과학연구원 뇌과학이미징연구단 부연구단장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예순아홉 번째 주인공은 기초과학연구원 뇌과학이미징연구단의 우충완 부연구단장이다. 동물과 사람의 뇌의 기능과 구조를 연구하는 뇌과학이미징연구단. 이곳에 뇌 연구를 통해 사람의 몸과 마음 상태를 보여주는 과학자가 있다. 기초과학연구원의 우충완 박사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전세계 인구의 약 20% 가량이 앓고 있는 만성통증. 하지만 사람마다 통증의 정도가 다르고, 그 판단도 주관적이어서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충완 박사는 보이지 않는 통증을 수치화했다. 사람에게 열과 캡사이신 통증 자극을 주어 그 자극에 반응하는 뇌의 활동을 자기공명영상(MRI) 기계를 통해 확인해낸 것. 이는 통증 진단과 치료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104

00:38 ■ 여러 동물을 이용한 백신 개발 ▶full영상 : https://youtu.be/LmQJOE1jbS0 03:35 ■ 우주용 광학 거울 기술을 국산화하다 ▶full영상 : https://youtu.be/r_GxYuavR9g 07:50 ■ 무질서한 나노패턴으로 보안성을 높이다 ▶full영상 : https://youtu.be/PqK2CyQAVpc 11:37 ■ 기상컨설팅 - 예보를 마케팅하다 ▶full영상 : https://youtu.be/Ucb1GQU6ZC8 15:26 ■ 지상이 아닌 우주의 인프라가 된 인터넷 ▶full영상 : https://youtu.be/H-9aw1kz5PE 18:28 ■ 가치가 변하지 않는 골드바 제작 과정 ▶full영상 : https://youtu.be/8x24OArppvY 22:06 ■ 시험관 수정으로 유전 질환을 예방하다 ▶full영상 : https://youtu.be/LmQJOE1jbS0 24:23 ■ 인간의 고유 영역이었던 예술 분야까지 진출한 인공지능 ▶full영상 : https://youtu.be/H-9aw1kz5PE

80

■ 정인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부교수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예순여덟 번째 주인공은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의 정인 부교수이다. 우리의 원활한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에너지. 하지만 일상에 쓰이는 에너지는 고작 32% 정도이고, 나머지 67%에 해당되는 에너지는 열로 증발되어 결국 버려진다.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자 버려지는 열을 재활용하여 전기로 바꾸는 연구를 진행 중인 과학자가 있다. 서울대학교의 정인 교수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정인 교수는 ‘주석(Sn)’과 ‘셀레늄(Se)’이라는 두 가지 물질을 이용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열전소재를 개발했다.

120

00:29 ■ 폴리코사놀 - 쿠바에서 발견한 건강에 이로운 원료 ▶full영상 : https://youtu.be/U_L7iaUOmio 04:49 ■ 시대에 맞는 기부방식으로 나눔을 활성화하다 ▶full영상 : https://youtu.be/lovHAr-e1QI 07:28 ■ 리트리버의 유전병을 유전자 가위 기술로 치료하다 ▶full영상 : https://youtu.be/z3Lmkhq39j4 11:43 ■ ESS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 ▶full영상 : https://youtu.be/mnImJdRrUs0 14:35 ■ 프로그램을 만드는 코딩은 무엇일까? ▶full영상 : https://youtu.be/zd4Wmjnog80 17:28 ■ 임플란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full영상 : https://youtu.be/WM-KBSVvYXE 20:08 ■ 어눌한 영어 때문에 발견된 제로 콜라의 감미료 ▶full영상 : https://youtu.be/uqI-eYEN1Qg 22:38 ■ 오랜 명맥을 잇는 괘종시계 제작 과정 ▶full영상 : https://youtu.be/iWcxDc_oIoc

156

00:34 ■ 일본 수출 규제로 보는 소재가 중요한 이유 ▶full영상 : • [사이언스포럼] 소재가 전략이다... 04:24 ■ 경매를 통해 중고 물품을 구매하는 만물 시장 ▶full영상 : • [황금나침반] 가성비 甲! 이보... 08:52 ■ 한국 종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린 염영하 교수 ▶full영상 : • [과톡] 한국 전통 복원에 앞장... 12:47 ■ 귀한 품질의 참숯을 얻기 위한 과정 ▶full영상 : • [기술자들] 그동안 알지 못했던... 15:46 ■ 재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 친환경의 열쇠, 나노섬유 ▶full영상 : •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나노... 18:35 ■ GM과 유전자 가위의 차이점 ▶full영상 : • [다큐S프라임 오리지널] 인류의... 21:38 ■ 물풍선이 초에 터지지 않는 원리 ▶full영상 : • [과톡] 홈쇼핑에서 왜 실험이 ... 24:13 ■ 당구를 잘 치는 꿀팁 - 당구 속에 숨겨진 과학 ▶full영상 : • [황금나침반] 제 2의 전성기를...

132

■ 양성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 책임연구원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예순여섯 번째 주인공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의 양성일 책임연구원이다. 2016년,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승리하면서 4차 산업혁명 핵심으로 떠오른 인공지능(AI) 기술. 도로를 달리는 자율주행 자동차, 대화 전문 인공지능인 챗GPT 등 인공지능의 진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나아가 게임을 이용한 인공지능을 개발한 과학자가 있는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성일 박사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게임은 실제 세계와 유사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다. 양성일 박사는 이러한 게임 속에서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수치화시킨 데이터를 인공지능 플레이어에게 학습시켜 사용자 맞춤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