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LTE

0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LTE 가입자가 17개월 만에 증가한 것과 관련해 통계기준 변경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1442

011, 016 같은 2G 이동통신 번호로도 3G와 LTE, 5G 서비스를 오는 2021년 6월 말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세대 간 번호이동을 한시적으로 허용하는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을 개정했다고 밝혔습니다.

1085

4세대 이동통신 LTE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빠른 시설은 지하상가, 가장 늦은 곳은 고속도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5월부터 11월까지 이동통신 3사의 LTE와 와이파이, 3G 무선인터넷서비스 품질을 평가한 결과, 주요 시설별로는 지하상가의 LTE 평균 다운로드 전송속도가 262Mbps로 가장 빨랐습니다.

1013

이동통신 3사와 알뜰폰의 LTE 다운로드 속도가 거의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LTE와 와이파이, 3G 등 무선인터넷과 음성통화, 유선인터넷을 대상으로 '2018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1391

4세대 LTE를 잇는 차세대 통신 기술로 5세대 이동통신이라고도 한다. 스마트폰과 모바일 기기가 발전하면서 무선 이동통신 기술도 함께 발전하였다. 4세대 LTE기술과 비교했을 때, 빛의 속도로 빠른 5G는 초고선명 영화를 1초 만에 전달할 수 있다.

967

와이브로는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로 2002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와 삼성전자가 함께 주도해 개발한 순수 토종 통신 기술입니다.

1632

LTE 통신으로 인한 지하철 내 전자파가 가장 강한 곳은 2호선, 가장 적은 곳은 1호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수도권 지하철의 LTE 기지국과 와이파이 공유기 전자파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이렇게 밝히면서, 1호선부터 9호선까지 전 노선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모두 인체에 무해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24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4월 10일(화), 5G망의 조기 구축과 세계 최초 상용화 (2019년 3월)를 지원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통신사들의 중복투자를 줄이기 위하여 ‘신규 설비의 공동구축 및 기존 설비의 공동 활용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하였다. 이번 방안은 5G 특성상, 기존에 비해 더 많은 통신설비 (기지국·중계기, 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관로·광케이블)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통신사 간 공동구축 활성화, 5G 망 구축을 위한 지자체‧시설관리기관의 자원 활용, 통신사의 설비 개방 등을 통해 고품질의 5G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084

이동통신사들이 제공하는 LTE 서비스의 속도 품질에서 도시와 농촌 간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이런 내용을 포함한 '올해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1542

성탄절과 신년 타종 등 행사의 모바일 데이터 전송량이 평소 대비 3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동통신 3사가 설비 증설에 나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