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GMO

420

GM 기술은 새로운 물질을 생산하거나 기능할 수 있도록 세포나 생물체의 유전물질을 변경시키는 기술이다. 이런 GM 기술을 이용해 GMO 식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GM과 유전자 가위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336

2018년 중국에서는 유전자 편집을 통해 아기를 출생하여 세계와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리기도 했습니다. 유전자 가위는 인류를 위한 이로운 기술에는 틀림없지만 생명체를 다루는 기술인 만큼 신중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미래만 예측할 수 없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각국의 유전자 기술 연구 사례를 보며 어떻게 다루어져야 할 지 함께 고민해봅니다.

428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 속 깊이 들어온 유전자 변형 농산물 GMO #GMO #유전자변형농산물 #유전자가위 #미래식량

0

[사타의 유사 과학 & 음모론 타파] (4) 식품 관련 익명의 바다인 인터넷에서는 각종 허위 정보가 돌아다닌다. 허위 정보는 더 자극적인 정보를 찾는 사람들의 호기심을 먹고 순식간에 퍼지게 되며 여러 사람의 입을 거친 허위 정보는 어느새 유사과학이나 음모론과 함께 진실인 것 처처럼 여겨진다. 과학은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학문이기에 이를 구분 할 수 있어야 한다. 자극적이고 재미있다고 해서 진실은 아니듯이 재미없는 사실이라고 해서 관심을 끊을 필요도 없다.

486

GMO(유전자변형 농수산물)에 관한 연구는 늘 논란의 중심에 있다. 유해하다는 결과가 발표되면 즉시 반대측 입장이 나온다. 왜 GMO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늘 찬반이 나뉘어 논란이 되는 걸까? ▶full영상: https://youtu.be/MAfKroCksok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GMO #유해성연구 #농수산물 #연구실험 GMO 연구를 둘러싼 논쟁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3041713141616

0

살충제 계란, 제초제 맥주 등 우리 사회의 먹거리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다. 특히 초중고 학교에서 전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학교 급식만이라도 식재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GMO와 방사능, 잔류농약이 없는 ‘3無 급식’을 실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1242

유전자변형 농작물, GMO 등 학교 급식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올바르게 관리할 방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은 오늘(1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을 열고 학교 급식에 사용되는 재료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391

우리나라만큼 강력하게 표시된 나라가 드뭅니다, 사람들은 우리나라가 표시가 너무 약하고 무용지물이라고 말하는데요. 실제로 우리나라는 EU에 이어 두 번째로 GMO 표시할 정도로 앞서 있고요. EU 다음으로 강력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1538

환경오염은 어제오늘 문제는 아니죠. 지구 환경과 동식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먹고 마시는 인간에게도 고스란히 피해가 돌아오는데요. 우리가 매일 먹는 건강한 밥상, 그런데 요즘 건강한 밥상이라는 말이 조금 어색하게 들리는 심각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상태가 어느 정도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