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DS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AIDS

184

‘세계 에이즈의 날‘ 40주년을 막 지나고 있지만 HIV/에이즈와 닿아있는 여전한 인식은 두려움과 편견이다. 한 알의 약으로 치료는 물론 예방까지 가능하다는 점,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에선 전염 우려도 제로에 가깝다는 사실 등 너무나 기초적이지만 모르는 내용들을 특별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과한토크에서 알아보고 감염인과 더불어 사는 사회가 되도록한다. ========================================== 00:00 | INTRO 03:18 | 편견에 갇힌 채 별이 된 예술인들 05:45 | AIDS의 첫 발병 08:40 | 1980년대 전후 달라진 바이러스 환경 조건은 09:38 | 게이 커뮤니티 내에서 유행처럼 퍼져나간 HIV 10:20 | 대한민국은 왜 AIDS에 소극적일까? 12:09 | AIDS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 14:02 | HIV와 접목한 예술, 시작하게 된 계기 17:28 | 인식개선, 예방 등 다양한 HIV 관련 캠페인 18:49 | 국내 HIV 감염인 수 22:24 | HIV 검사 가이드(보건소 익명 검사) 21:31 | 혈액 검사 시 HIV 보균 검사는 필수? 22:56 | HIV와 AIDS란? 24:00 | HIV와 AIDS는 관리 가능한 만성질환이다? 27:07 | HIV 치료제의 부작용은 없을까? 28:37 | HIV는 모기로도 감염될 수 있다? 31:32 | HIV 감염인의 대한 차별은? 34:26 | 오염된 수혈을 받아 HIV에 감염된 라이언 화이트 37:35 | HIV • AIDS의 예방, 어떤 방법이 있을까? ========================================== #AIDS #HIV #에이즈 #교육 #YTN사이언스 편견에 갇힌 에이즈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475&hcd&key=20221202093356498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질병을 치료와 예방을 동시에 진행하는 ‘치료백신’ 개념은 이미 여러 곳에서 연구 중이다. 치료백신 사례로 후천선면역결핍증(AIDS) 연구도 꼽히는데, 2020년 미국 유타 보건대 연구팀은 새로운 AIDS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원숭이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효과를 입증해 화제가 된 바 있다.

0

2018년은 유전자를 편집한 아기가 출생한 해로 기록됐다. 지난 11월말 중국에서 유전자가위 기술로 배아 속 유전자를 교체한 쌍둥이 아기들의 모험적인 출산이 이루어져 세계를 놀라게 했다.

7102

What is it, and are we close to a cure? SHARE on Twitter: http://bit.ly/1NalHm8 & Facebook: http://on.fb.me/1MTLpMp Get a FREE Audible Trial: http://audible.com/asap Written by Rachel Salt,...

0

HIV/AIDS를 치료하는데 지난 30년 동안 사용되어 온 약물들을 노화와 관련된 황반 퇴화(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의 건조 형태를 치료하기에 맞게 고칠 수 있을 것이라고, 새 연구가 제안했다. AMD는 환자들의 90퍼센트까지에서 치료불가능하고 전세계적으로 노인에서 시력상실의 주요 원인인 진행형 상태이다. 습성 및 건성의 두 가지 형태의 AMD는 망막에 침입한 혈관의 존재와 부재를 기반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