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을 나는 여러 동물 종들은 저마다 독립적으로 비행에 적응했다. 우연히 같은 기능으로 진화한 것이다. 최근 논문은, 같은 나비 종들도 같은 아마존 숲에서 살면서 적응한 숲의 높이에 따라 날개와 날갯짓의 진화가 달라졌다고 보고했다. 숲의 높이와 그 특징에 따라 비행 방식에 대한 선택압이 달랐던 것이다.
기계를 움직이려면 기계에 에너지를 보내야 하고, 기계가 이 에너지를 써서 일을 한다는 것은 보낸 에너지의 일부가 일이라는 형태의 에너지로 바뀌는 것이며, 이 때 일로 변하지 않고 낭비된 에너지도 생기는데, 보낸 에너지와 다른 에너지 사이에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성립하므로[보낸 에너지]=[일이 되어 나온 에너지]+[일로 바뀌지 않은 에너지]가 되며, 이 경우 보낸 에너지의 얼마만큼이 일에 쓰였는가를 그 기계의 효율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