슐리렌 장치로 기체를 살펴보면 어떨까?
먼저 요즘 손소독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코올의 증발을 살펴보고
휘발유의 그리고 헬륨의 증발을 살펴본다.
또,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갖고 있는 부탄가스의 폭발 실험을 통해
기체의 움직임을 카메라고 살펴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bsaNSZbD-xA
#슐리렌#헬륨#알코올#부탄가스폭발#기체움직임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60&key=202108121457133814
초신성이 왜 발생하느냐, 사실 초신성이라는 건 어떤 별이, 모든 별은 아니지만 특정한 별이 죽어가면서 그때 많은 에너지가 응집되면서 폭발할 때 발생하는 현상인데요. 밝기는 태양의 억 배 혹은 아주 밝은 경우 수천억 배까지 밝게 빛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초신성은 우주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어요. 예를 들면 1초에 10번 정도의 초신성이 이 우주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화학자. 아르곤과 헬륨을 발견하여 주기율표에 제0족이 추가되었다. 네온·크립톤·제논을 발견하고, 라돈이 붕괴될 때 헬륨이 방출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브리스톨 대학 화학교수 재직 시에 조수인 영(Sydney Young)과 함께 액체상기체상계(液體相氣體相系)를 연구하여 압력과 액체의 융합에 관한 램지-영의 법칙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