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허준

93

당시 신분제도 때문에 의관의 길을 택한 허준 선생 구암 허준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이곳! 허준박물관

2130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서 동의보감(1610년) 병증, 약물 종류, 침구법, 예방법 등 의학지식 집대성 닭고기는 오장을 안정시키고 여름철 저항력을 키워준다. 파뿌리는 소화장애, 설사, 저혈압에 좋다. 800가지 음식처방 일반인에게도 유용한 지침서

2103

1610년(광해군 2) 허준(許浚)이 저술한 의학서적으로서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9년 7월 3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4547

구급 상황 대처법 정리, 산부인과 · 소아과에 관한 의학 지식 모음 백성이 쓰기 편한 공중보건 의서를 편찬 1610년 (광해군 3년) 동의보감 완성 주요 의서 500여 권 비교 분석 의학 대중화에 기여 백성을 살리는 어진 의술을 펼친 허 준 (1537~1615)

1674

1610년(광해군 2) 허준(許浚)이 저술한 의학서적으로서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9년 7월 3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4173

2009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2015년 국보 지정!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의 인정을 받은 소중한 유산 동의보감. 이매진 이번 시간에는 동의보감 속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를 들여다본다.

3418

1546~1615 조선시대의 명의.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岩). 어의(御醫)가 되어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끝까지 왕을 호종, 선조 37년(1604)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이 되고 선조 39년(1606) 양평군(陽平君)에 봉해져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으나 중인(中人) 출신에게는 당상관의 위계를 줄 수 없다고 대간(臺諫)들이 반대하여 취소되었다.

2902

조선 중기의 명의로 동양 최고의 의서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저자이다

2691

조선시대 허준이 편찬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한의학 책

9355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전(丁若銓)이 세종대왕, 장영시라, 허준, 우장춘 박사 등과 함께 우리나라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대상자로 확정됐다. 정약전은 국내 최초의 수산학 서적인 ‘자산어보’를 저술해 우리나라 해양 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정길생)은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전을 2012년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대상자로 최종 선정하고 국립과천과학관에 그 업적을 전시한다고 밝혔다. 1758년 출생한 정약전은 정조 14년에 문과에 급제, 벼슬길에 올랐다. 그는 정조 22년 임금의 명으로 ‘영남인물고’ 편찬 등에 참여했으나, 천주교 신유박해로 흑산도로 유배됐으며, 유배기간 중 ‘자산어보’를 저술했다. 그가 저술한 ‘자산어보’는 한반도 남서해안 흑산도 근해의 수산물을 체계적으로 분류 기록한 것으로 각 종류의 명칭, 분포, 형태, 습성 및 그 활용법까지 자세히 기록돼 있다. 이런 이유로 이 서적은 조선 후기 실용성을 지닌 실학 고전 중 융리한 자연과학분야의 업적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