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부터 현재까지 우주를 관측하는 허블 우주 망원경.
오랜 시간 활약한 만큼 여러 번의 보수 작업을 거쳤다고 한다.
막대한 예산이 투여된 만큼 여러 큰 업적들을 세웠다.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가장 유명한 사진에 대해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GNtQjqkpns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 망원경 #허블우주망원경 #독수리성운 #목성 # YTN사이언스
우주 망원경계의 고인물 - 허블 망원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401151439399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지상 610km 고도에서 초속 8km의 속도로 우주를 관측하는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인해 인류는 전혀 몰랐던 우주의 비밀들을 밝혀냈다.
30년째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허블 우주망원경의 업적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SBPwd0cXaT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허블우주망원경 #우주망원경 #망원경 #우주관측
허블 우주망원경의 업적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3111522344746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1989년부터 구상되었다.
10번이 넘는 리허설 끝에
2021년 12월 25일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다.
천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SBPwd0cXaT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 #제임스웹우주망원경 #허블우주망원경 #천문학 #우주망원경
최강 스펙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3111455185529
우주망원경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이에 관한 생각은 이미 1800년대 중반부터 계속되고 있었다. 독일 천문학자 빌헬름 비어(Dr. Wilhelm Beer)와 요한 하인리히 메들러(Dr. Johann Heinrich Mädler)는 달에 천문대를 건설한다는 개념을 이론화하였으며 그로부터 100여 년 후, 1940년대에 미국 천체 물리학자 라이먼 스피처(Dr. Lyman Spitzer Jr.)는 지구의 대기권을 침해하지 않는 거대한 망원경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놓으며 우주망원경을 쏘아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블 우주망원경은 인류 역사상 가장 다재다능하며 과학적인 결과를 많이 내놓은 망원경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허블 우주망원경은 예정된 수명이었던 15년을 이미 훌쩍 넘겼으며 현재도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다. 사실 허블 망원경은 미항공우주국의 권유로 2000년대 초반에 은퇴할 예정이었지만 간헐적인 중단 후에 성공적인 수리를 통한 정상적인 작동을 확인한 미항공우주국과 유럽 우주국은 허블 망원경의 은퇴를 미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