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3

행성

1289

천문학의 관점으로 동화들을 바라봐요~ 옛날옛날에 우주의 카이퍼벨트라는 마을에 작은 아기얼음이 살고 있었어요. 동네 사람들은 아기얼음을 작다고 무시했지만, 아기얼음에겐 원대한 꿈이 있었죠. 그건 바로 우주의 빛나는 별이 되는...

0

지구와 같은 행성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을까? 최근 천문학자들이 첨단 장비를 활용해 태양계 밖에서 행성이 어떻게 생성되고 있는지 그 과정을 관측하고 있는 중이다.

0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려 4200개가 넘는다. 그러나 대부분 간접 관측을 통해 존재한다는 사실만 확인된 것이고, 실제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었던 행성은 고작 20여 개에 불과하다. 모성의 밝기에 비해 매우 작고 희미해서 직접 관측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망원경 기술로도 외계행성을 직접 관측하는 것이 가능한 예외적인 상황이 있다. 아직 덜 식어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젊은 행성이 모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공전하는 경우다. 그중에서 갓 태어난 외계행성을 관찰하면 행성의 생성 원리를 연구할 수 있다.

1175

NASA에서 화성행 탑승권을 얻는 방법을 공개해 전 세계인의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사실 진짜로 화성에 갈 수 있는 건 아니고, 신청자의 이름이 새겨진 칩을 화성에 보내는 재미있는 캠페인인데요. 화성에 대한 영화나 소설은 정말 많이 나왔잖아요. 하지만, 아직 인류는 밟은 적이 없기 때문에 흥미롭고 호기심이 가는 것 같습니다. 화성은 어떤 곳인가요?

0

행성학자들에게 있어 2019년 8월 24일은 언짢은 날이다. 명왕성(Pluto) 때문. 13년 전인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새로운 행성분류법에 따라 명왕성을 행성이 아닌 왜소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했다. 왜소행성이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구(球) 형태를 유지할 만큼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니고,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들을 끌어들이지 못한 지구와 다른 행성을 말한다.

0

13일 미국 콜로라도 대학의 지질학자인 스티븐 모이즈시스(Stephen Mojzsis) 교수 등 미‧일, 노르웨이 공동연구팀이 지구 생성 초기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간표를 작성해 공개했다.

0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구보다 큰 지구 모양의 행성을 슈퍼 지구(super-Earth)라고 한다. 지구형 행성 중에서도 지구보다 질량이 2~10배 큰 천체로, 중력이 강해 대기가 안정적이고 화산 폭발 등 지각운동이 활발해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행성을 말한다.

1989

물이 있고, 적절한 온도를 갖춰, 과학자들이 '서식가능지역'이라고 판단하는 외계 행성이라도 생명체가 살고 있을 가능성은 적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NASA와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은 외계 행성의 대기를 고려해 컴퓨터로 분석한 결과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0

2001년부터 화성 궤도를 돌고 있는 NASA의 화성 탐사선 마스 오디세이(Mars Odyssey)가 지난 4월에 촬영한 위성 포보스(Phobos)의 적외선 사진이 공개되었다.

2861

어원은 Terra(땅,지구)+Forming(개척,형성)으로 지구가 아닌 다른 천체에 생물체가 생존할 수 있는 환경과 생태계를 구현하여 인간이 생존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