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299

소행성과 행성의 차이점 #우주 #소행성 #행성

245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진 45억 년 전부터 지금까지 시간을 거치면서 소천체의 소행성들은 여러 가지 현상들을 겪었을 것이다. 소행성(Asteroid) 단어의 기원을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L-xw9OD9sp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소행성 #우주 #Asteroid #행성 #소천체 소행성(Asteroid) 단어의 기원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0085&key=20221028163604267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406

소행성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지만, 실제로 소행성이 무엇인지는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한국천문연구원 김명진 연구원님과 함께 소행성이 무엇인지, 특징은 어떤지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L-xw9OD9sp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소행성 #우주 #행성 #소천체 #태양계 소행성은 무엇일까?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0085&key=20221028155630206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달은 수 시간 만에 탄생? 1억 개 입자 최초 고해상도 시뮬레이션 NASA 연구팀이 수십억 년 전 지구의 달이 ‘하루아침’에 탄생했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1억 개의 입자로 이제까지 없었던 고해상도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지구의 역사와 행성과학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해당 연구는 10월 4일자 국제학술지인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에 게재되었다.

0

[JWST 첫 관측 결과 해석] (3) 행성상 성운 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 해석” 시리즈는 사이언스타임즈 리포터이자 천문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제임스 웹의 관측 결과 해석,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등에 대해 설명하는 연재 코너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는 한국 시각으로 7월 12일 오후 11시 30분(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12일 오전 10시 30분)에 NASA TV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분광 스펙트럼은 총 5가지로, SCAMS 0723 은하단, 뜨거운 가스 외계 행성 WASP-96b(분광 스펙트럼), 남반구 고리 성운으로 알려진 NGC 3132 성운, 슈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 그리고 용골 성운의 NGC 3324 가장자리 ‘우주 절벽’ 등이 있다. (관련 기사 보기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첫 관측결과를 공개하다’)

0

[JWST 첫 관측 결과 해석] (3) 행성상 성운 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 해석” 시리즈는 사이언스타임즈 리포터이자 천문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제임스 웹의 관측 결과 해석,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등에 대해 설명하는 연재 코너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는 한국 시각으로 7월 12일 오후 11시 30분(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12일 오전 10시 30분)에 NASA TV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분광 스펙트럼은 총 5가지로, SCAMS 0723 은하단, 뜨거운 가스 외계 행성 WASP-96b(분광 스펙트럼), 남반구 고리 성운으로 알려진 NGC 3132 성운, 슈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 그리고 용골 성운의 NGC 3324 가장자리 ‘우주 절벽’ 등이 있다. (관련 기사 보기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첫 관측결과를 공개하다’)

0

6월 말~7월 초의 행성 정렬 퍼레이드 6월 마지막 주, 보기 드문 행성 퍼레이드가 시작된다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의 5개 행성이 6월 마지막 주부터 순서대로 정렬되고 있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 대부분 장소에서 대략 6월 23일 목요일 이른 새벽부터 대략 7월 초 이른 새벽 사이에 위 행성들의 차분한 정렬 모습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513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두 가지 환경은 대기와 바다다. 우리가 사는 지구 말고도 대기나 바다가 있는 행성이 있다고 한다.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있는 행성들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EF54iPzp1G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외계생명체 #글리제581d #화성 #행성 생명체가 살 수도 있는 행성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3111502451144

792

우리 지구가 속한 태양계. 태양계라는 이름은 왜 붙었을까? 태양이 다른 행성들과 어떻게 다른 걸까? 또 태양이 사라지게 된다면 어떠한 일들이 생길까? 우리 태양계의 중심인 태양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TvQ4M2qzkG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 #태양 #태양계 #행성 #에너지 태양이 없어지면 생기는 일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3041747521461

507

[영상소개]🎥 우주탐사 EP2. 우주와 지구의 탄생, 그리고 달 : 빅뱅이론, 태양계, 지구와 달의 탄생, 거대 충돌설, 지구와 달의 거리 [내용소개]📜 - 우주의 탄생부터 별의 탄생까지 : 빅뱅, 별과 행성의 차이 - 지구의 탄생과 달의 탄생 : 테이아와 두 개의 달 - 대충돌설, 달 생성의 주류 학설이 되다 : 아폴로 프로그램, 아폴로 11호의 달착륙과 그 의미 - 달의 모습과 운동 특징 [감수]📺 시나리오 : 심채경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영상 : 양지현 (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