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라스틱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해양플라스틱

725

간접 노출된 나노플라스틱에 의한 소화효소 활성 저해 정량화 국내 연구진이 해양 먹이사슬을 통해 나노플라스틱에 간접적으로 노출된 참조기의 소화 기능이 저해​될 수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안윤주 교수 연구팀(건국대학교, 제1저자 김리아 석ㆍ박사통합과정)이 소비율이 높은 식자원인 참조기를 대상으로 나노플라스틱 간접 노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나노플라스틱이 먹이망*을 통해 전이되며 소화효소*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217

2018년, 제주도 해변에서 방류된 바다 거북. 11일 만에 부산 앞바다에서 폐사된 채로 발견되었는데, 왜 폐사된 채로 발견되었을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4AymaiLJYR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해양폐기물 #해양플라스틱 #바다거북 #바다 #거북 방류된 바다 거북이 폐사된 이유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902164714234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세계해양의 날을 맞아 브라질 정부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성모상을 공개했다. 리우데자네이루의 보타포가(Botafoga) 해변에 위치해 있으며 12m 길이로 아기 예수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이다. 브라질 정부는 최근 리우데자네이루 해변에 플라스틱을 만든 성모 마리아 상의 모습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