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술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해양기술

151

바다에서 사용될 기술인 만큼 현장에서 성능 시험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바다는 변수가 많으므로 꼼꼼히 준비해야 한다. 개발된 해양 기술을 직접 시험해 보기 위해 바다로 나갔다.

322

■ 백승재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ICT융합연구센터장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마흔 세 번째 주인공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ICT융합연구센터의 백승재 센터장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98%를 차지하는 바다. 바다는 그 존재 자체로도 인류에게는 중요한 존재이다.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숨기고 있는 바다의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과학자가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해양ICT융합연구센터 백승재 센터장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일상적으로 전자기기에서 사용하는 이차전지는 대부분이 리튬이온 배터리로 물이 직접 닿으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그러나 해수 배터리는 바닷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양극을 바닷물로 대체하고, 배터리셀을 음극 소재로 이용하여 무게를 크게 줄여 생산성을 높였다. 또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던 리튬을 사용하지 않아 가격도 합리적이다. 이렇듯 지금까지 없었던 세계 최초 충·방전 방식 해수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해양ICT연구자 #해수배터리 #이차전지 #해양기술 해수 배터리로 바다의 가능성을 열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394&key=20221025094259544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85

3면으로 둘러쌓여있는 바다가 있는 대한민국, 이러한 이점들을 어떻게 이용해야하고 지속가능하게 후손들에게 물려줘야할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4AymaiLJYR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해양 #바다 #어업 #해양기술 #해양보존 해양을 어떻게 보존해야할까?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902163522776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67

오래된 삶의 터전이자 새로운 문명의 열쇠였던 바다! 무분별한 개발 경쟁과 폐기물로 마침내 임계점이 임박한 지금, 지속 가능한 바다를 위한 새로운 해양 문화와 해양적 사고에 대해 알아본다 ■ 김태만 / 국립해양박물관 관장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 전) 부산 북항재개발문화컨텐츠 자문위원장 전)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지속가능분과 문화국가 소위원장 전) 부산광역시장인수위 글로벌문화도시분과위원장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사이언스포럼 #해양문화 #해양성 #해양기술 #바다거북 해양 문화와 해양성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5&s_hcd&key=20220808093757618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094

중국의 해커들이 군사용 해양 기술 연구결과를 탈취할 목적으로 미국을 포함해 전세계 20개가 넘는 대학들을 겨냥해 사이버 공격을 벌였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사이버안보 전문가 및 전현직 미국 관리들은 인용, 하와이 대학, 워싱턴 대학, MIT(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등 미국, 캐나다, 동남아 등 최소 27개의 대학이 중국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에 피해를 입었다고 전했다. 중국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을 받은 대학 중에는 한국의 삼육대학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