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류

356

해수면 상승이 상승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여러가지 원인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육지의 물이 바다로 이동하는 것이다. 화산이나 지진과 같은 지각변동으로도 해수면이 상승하고 해류에 인한 해수면 상승도 가능하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HZGOFA7RX0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해수면 #해수면상승 #지각변동 #해류 #기후위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624163258872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82

적도 부근 서태평양 해수 온도는 평년보다 상승하고 동태평양 해수 온도는 저온이 되는 해류의 이변 현상

719

정확한 해류 정보 제공으로 해양오염물 이동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떤 해류의 영향을 받을까? ▶full영상: https://youtu.be/RywGTH2rv2s #해류#경기만#쿠로시오 난류#태평양 해류#대서양#걸프스트림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106171500001801

0

해류란 무엇인가? 우리는 왜 해류를 알아야 할까? 해류(Ocean current)란 바닷물의 일정한 흐름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작용 기작에 따라서 표층 해류와 심층 해류로 나뉜다.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외력이 개입 여부다. 표층 해류는 무역풍이나 편서풍 같은 바람이 만들어 내는 수압 차로 인한 해수의 쏠림 현상과 전향력의 발생이 주된 원인인 반면 심층 해류는 온도나 염분에 따라 변하는 밀도가 유발하는 압력 차로 인해서 움직인다. 밀도 차이는 크게 계절이나 장소 그리고 위도 등에 따라서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굳이 외력이 없어도 바닷물이 스스로 흐를 수 있다.

0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다. 방글라데시 등의 저지대 국가, 뉴욕‧마이애미‧암스테르담과 같은 저지대 도시, 몰디브‧투발루‧키리바시와 같은 해발고도가 낮은 작은 섬들이 수몰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

0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지난 31일(화) 코리아나호텔에서 ‘우리 바다 해류 특성과 먹거리’라는 주제로 2017년 제3차 과학커뮤니케이션포럼을 열고, 우리 먹거리에 대한 무분별한 정보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우리 수산물 먹거리 안전성을 점검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2440

대서양의 북서부를 남류하는 해류. 배핀만(灣)에서 데이비스 해협을 거쳐 래브라도 반도와 뉴펀들랜드섬 해안을 따라 남동쪽으로 흐르는 한류(寒流)이다.

3339

동한 난류는 동해를 흐르는 해류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난류이다.

3532

대양의 동안을 따라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느리게 흐르는 한류이다.

2815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해터러스곶 앞바다부터 뉴펀들랜드의 남쪽까지 북동을 향해 흐르는 해류이다. 쿠로시오 해류와 함께 세계 최대의 난류로 꼽힌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해터러스곶 앞바다부터 뉴펀들랜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