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항암제

56

미토콘드리아로 약물 정확히 전달·방출하는 나노겔 개발

156

식물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회사는 유전자 치료제 및 식물 기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크리스퍼-카스 12 기술을 사용해 자체 개발한 항암제 신약 개발도 진행 중이다. 식물을 사용해서 유전자 가위로 교정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144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를 암세포에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단백질 조립체를 개발했습니다. KAIST 연구진은 생체 내에서 물질을 수송하는 단백질인 클라트린을 모방해 표면에 암세포를 인식하는 물질과 항암제를 접합한 단백질 조립체를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기존의 항암제 전달 조립체와 비교할 때 개발된 조립체는 항암제와의 결합력이 900배 이상 우수해 정상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에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0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맞춤형’ 암 치료…고형암 대상 첫 임상 실험 원하는 부위의 유전자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암 치료가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유방암‧결장암 등 고형암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5명의 환자가 암 세포 성장이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맞춤형 치료에 성공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493

김종승 의약합성 화학자가 개발한 3형 유방암 치료제는 미토콘드리아를 표적 할 수 있는 물질과 항생제로 쓰이는 물질을 결합한 물질이다. 이 새로운 약이 어떤 원리로 작용하는지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UYM4kKpO-1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항생제 #미토콘드리아 #유방암 #항암제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70533398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566

여성 유방암의 15%가 3형인데 3형 유방암 항암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김종승 의약 합성 화학자는 치료법이 없는 불치병 환자들을 위해 신약을 개발 중이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UYM4kKpO-1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유방암 #항암제 #불치병 #항생제 #YTN사이언스 불치병 치료제를 만드는 화학자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6513472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114

기존 항암제인 펩타이드 의약품이나 항체 의약품의 장점만을 취한 새로운 암 치료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KAIST와 서울대 공동연구팀은 지속시간이 길면서도 조직 침투력이 좋은 펩타이드·항체 복합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0

이솝우화인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미래 버전은 아마도 ‘항암제를 낳는 닭’으로 바뀔지도 모른다. 영국의 과학자들이 항암제 성분이 함유된 달걀을 낳는 닭을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2242

체질량 지수 'BMI'라고 있잖아요. 자신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을 말하거든요. 예를 들어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이 키가 160cm라면 60 나누기 1.6 곱하기 1.6으로 나눈 값이에요. BMI 값이 25 이상이면 우리나라에서는 비만이라고 정의하고 있고요. 미국의 경우엔 30 이상이지만, 인종 간의 차이를 고려해 우리나라는 25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032

면역 항암제는 우리 몸에서 외부의 적과 싸우는 면역 세포를 이용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차세대 항암 치료 방법인데요. 면역 세포에는 외부의 적과 싸우도록 하는 일종의 '엑셀'이 있고요. 반대로 외부의 적과 싸우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도 있습니다. 암세포는 면역 세포의 브레이크 기능을 활성화해, 면역 세포가 자신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는 능력이 탁월한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