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422

내성균이 항생제 분해하여 세균 집단 내성 유발 국내연구진이 다제내성균* 치료 시 최후 처방 항생제로 사용되는 콜리스틴(Colistin)의 효과를 무력화하는 내성균의 기전을 발견해 다중미생물 감염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창준 교수(중앙대학교) 연구팀이 토양에서 분리한 병원균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가 콜리스틴 항생제를 분해하고, 다중미생물 감염 시 일반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원균까지 집단 내성*을 유발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526

암피실린 미세구조로 에너지 재활용과 광추출 효율 향상 항생제 암피실린*과 전도성 고분자* 혼합물을 활용하여 높은 외부양자효율*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국내 연구진이 구현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류승윤 교수(고려대학교, 제1저자 김동현, 이창민 박사과정) 연구팀이 항생제 기반 미세구조 합성을 통해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417

김종승 의약합성 화학자가 개발한 3형 유방암 치료제는 미토콘드리아를 표적 할 수 있는 물질과 항생제로 쓰이는 물질을 결합한 물질이다. 이 새로운 약이 어떤 원리로 작용하는지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UYM4kKpO-1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항생제 #미토콘드리아 #유방암 #항암제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70533398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451

여성 유방암의 15%가 3형인데 3형 유방암 항암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김종승 의약 합성 화학자는 치료법이 없는 불치병 환자들을 위해 신약을 개발 중이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UYM4kKpO-1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유방암 #항암제 #불치병 #항생제 #YTN사이언스 불치병 치료제를 만드는 화학자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6513472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44

[영상소개]🎥 바이러스 / 백신 EP8. 감염병과의 전쟁 : 감염병의 역사, 역사속의 3가지 감염병, 항생제, 인류가 정복한 바이러스성 감염병, DNA와 RNA 바이러스 [내용소개]📜 - 고대의 대유행 감염병 - 근대의 대유행 감염병 - WHO 지정 범유행전염병 - 유사 범유행 전염병 - 그 외 유행성 질병 - 인류가 종식한 바이러스 : 천연두 단 하나 [감수]📺 시나리오 : 김응빈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교수) 영상 : 이재갑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428

호주의 배리 마셜 박사는 여러 명의 위염 환자에게서 같은 균을 발견했지만, 의학계에서는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었는데... 마셜 박사는 이 균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라는 이름을 붙여 연구를 계속해나갔고, 그는 이 균을 직접 마셔 이 균이 위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마침내 증명해냈다고 한다. ▶full영상: https://youtu.be/Xh8OrNNTYok #헬리코박터균 #베리마셜 #위염 #항생제 #박테리아 마셔서 증명해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핫클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110141625363487

1434

과학 실험실 안전자료 5분 동영상 - (중등14) 세균, 곰팡이, 항생제 등을 다루는 실험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

0

20세기 과학사는 변혁의 연속이었다. 20세기 두 차례 있었던 세계대전은 핵물리학과 레이더 개발, 비행기술을 발전시켰다. 1930년대 무르익기 시작한 양자역학은 현대 과학의 기틀을 만들었다. 과학 문명이 눈부시게 발전하는 시기였지만 이 시기 인류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세균에는 무력했다.

0

코로나19는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인명 피해를 가져왔으나,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은 페니실린이 발명된 이래 인류 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0

요즘같이 습하고 더운 날씨에도 사람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를 쓰고 생활하고 있다. 얼마 전 한 언론사에서 하루 정도 쓴 마스크 안쪽에 세균이 얼마나 자라는지 실험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런데 일부 마스크에서 항생제 내성균이 검출되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