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

46

대전과학문화거점센터 2023 과학자 인터뷰 시리즈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문인상 KARI 아카데미센터장

91

오는 24일 발사되는 누리호가 단간 조립을 모두 완료하고, 발사를 위한 완전한 형태를 갖췄습니다.

60

위성 카메라는 상을 잡을 때 비구면 광학거울을 사용한다. 곡선과 곡면의 힘이 일정하지 않아 제작이 어렵지만, 이윤우 박사는 우주용 광학 거울 기술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였고, 직경 0.8m의 광학거울은 연구원의 주요 연구 성과로 뽑혔다.

200

2022년 12월 27일에 다누리가 달 궤도 진입을 성공했습니다. 12월 26일 11시 6분 마지막(세번째)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수행한 결과, 다누리는 목표한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30km)에 진입하여 약 2시간 주기로 달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 : 달 궤도선(다누리)을 달 임무궤도에 안착시키기 위해 궤도선의 추력기를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는 기동

0

[NRF 생활과학이야기]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KPLO) 새로운 지평을 향한 여정, 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한국시간으로 지난 8월 5일 오전 8시 8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버내럴 공군기지 40번 발사대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KPLO)가 발사됐습니다. 로켓 단 분리 및 페어링 분리 등 과정을 모두 순주롭게 이뤄낸 다누리는 발사 40분 25초 뒤 팰컨 9 로켓에서 최종적으로 분리되 우주 공간에 놓였습니다.

0

[누리호 소식알림] 두 번의 연기 끝에 하늘길을 열다, 새로운 미래를 향해 2022년 6월 21일 오후 4시, 많은 이들의 기대와 응원 속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힘차게 날아올랐다. 15분 45초의 비행시간동안 누리호는 단분리 및 엔진점화 과정 등 모든 과정을 완벽히 수행했을 뿐 아니라 한국산 위성을 목표 궤도에 훌륭히 안착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4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25일「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하여 누리호 2차 발사를 위한 기술적 준비상황과 최적의 발사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2022년 6월 15일을 발사예정일로 확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0

[누리호 소식알림] 최종점검에서 어떤 문제를 발견한 것일까? 다음 발사 예정일은? 15일(수) 오전,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드디어 발사대로 이송되어 기립까지 마쳤다. 본래 14일 오전 이송과 15일 발사 예정이었던 누리호의 일정이 비바람으로 인해 하루 연기된 만큼 더욱 아쉬움과 기대를 모았다. (기사링크 – ‘D-2 day, 경험을 통해 강해진 누리호의 두 번째 도전’) 그러나 당일 오후 2시 5분경, 발사가 돌연 취소되며 누리호는 다시 조립동으로 돌아가야 했다.

0

연구진은 3단 엔진의 이상에 대해 “연소가 조기 종료되기 전 산화제 탱크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떨어졌다”며 “엔진 출력이 기준치 이후로 감소해 스스로 작동을 멈췄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현재 1,000종이 넘는 상세 데이터를 분석해 보다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