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98

한국천문연구원은 암흑에너지분광장비를 주제로, 암흑에너지를 연구하기 위한 과정과 국제 공동 연구팀의 이야기를 담은 천체투영관 전용 영상을 공개한다고 밝혔습니다.

114

국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통해 4,528개 소행성 표면의 구성 성분을 분류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연세대 공동 연구진은 그동안 소행성 성분 분석에 사용됐던 가시광 스펙트럼 기울기와 흡수 스펙트럼 이외에 스펙트럼의 넓이를 추가한 뒤 이 3가지 변수를 기계학습법으로 훈련해 소행성들의 개략적인 표면 성분을 새롭게 분류했다고 밝혔습니다. 천문연 문홍규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우주자원 탐사에 당장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지만, 해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기준에서 탈피해 독자적인 분류 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습니다.

103

한국천문연구원이 조선 시대에 작성된 3건의 혜성 관측 사료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는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유네스코 등재가 추진되는 기록물은 성변측후단자로, 조선시대 관상감이 혜성처럼 천체 위치·밝기가 변하는 '성변'의 변화를 매일 관측한 기록물입니다. 이 기록물에는 1759년의 핼리혜성 관측 기록이 담겼는데, 왕실 산하 관청이 관측한 자료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됐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성변측후단자를 보관 중인 연세대와 관련 학회인 한국천문학회, 한국우주과학회와 함께 오는 2025년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 신청을 목표로 학술대회와 세미나 등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121

우리나라는 우주의 위험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2013년 우주 위험 대응 전문기관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이 지정되었다. 우주환경을 감시하는 우주 위험감시센터는 우주 위험에 대한 체계적인 감시와 대응을 위한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118

우리나라 천문우주과학 연구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에는 국내 최초의 우주 전파 관측소가 위치해있다. 그중 대덕전파천문대에서는 먼 거리의 천체와 다양한 천문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QipsmCm3ebw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대덕전파천문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전파관측소 #천문현상 #우주 우주의 비밀을 밝혀내는 대덕전파천문대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394&key=20221209170832702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428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서른여덟 번째 주인공은 한국천문연구원이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우주라는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우주에 대한 근원적 질문의 답을 알아내기 위해 천문우주과학 연구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 서울과 울산, 제주에 있는 전파망원경으로 동시에 같은 곳을 관측하며 남한 면적의 가상 망원경 해상도를 구현해낼 수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 KVN. KVN의 관측 결과는 사상 최초로 성공한 블랙홀 관측에도 활용되며 그 우수함을 인정받았다. 그뿐만 아니다. 네 개의 우주전파 신호를 동시에 관측하는 ‘4채널 우주전파 수신기’를 세계 최초로 구현한 한국천문연구원. 이를 통해 독보적인 우주 관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됐고, 국제적으로는 ‘KVN-스타일’이라고도 불리며 천문학계에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게 됐다. 선조들이 남긴 천문 기록을 바탕으로 과거의 하늘에서 있었던 현상들을 분석하고 천문의기를 복원해내는 고천문연구센터. 청동기 시대 고인돌에 새겨진 별 그림부터 서양의 천문 기록보다 4일이나 빠르게 케플러 초신성 현상이 기록된 조선왕조실록까지. 고천문연구센터에서는 선조들의 발자취를 분석하고 검증하며 그 당시의 과학적 수준과 가치를 21세기로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 관측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천문 기록의 우수성과 역사적 가치도 증명해내는 연구기관, 한국천문연구원. 광활한 우주를 실험실로 사용하며 우리나라 천문우주 연구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한국천문연구원 #전파망원경 #천문대 #망원경 #우주탐사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집] 천문우주기술의 메카, 한국천문연구원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20920100118992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63

대한민국 우주탐사의 거점기지인 한국천문연구원.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이해 우주탐사그룹은 최근 바쁘다.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까지 무려 3개국에 출근을 한다. 그들이 하는 일은 바로 KMTNet 망원경 감시. ======================================== ※ Full 영상 ▶ https://youtu.be/P8kM3DwSoug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KMTNet #망원경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 별이 지지 않는 천문대 - KMTNet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722162345481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45

전세계적으로 우주 물체 감시를 위한 레이더, 광학, 레이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는 미국이 전세계 30개 이상의 광학,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해서 전 지구적으로 우주 물체를 감시하고 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OUn0rUtCfs8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위험 #우주위험물체 #우주 #보현산 #한국천문연구원 전세계의 우주 물체 광학 감시 네트워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713141522760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52

■ 문홍규 /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스물 다섯 번째 주인공은 한국천문연구원의 문홍규 우주탐사그룹장이다. 재난 영화에서 많이 다뤄지는 소행성 충돌 재난은 그저 웃고 넘길 상상일 뿐일까? 실제로 지구 근처에 떠다니는 소행성의 개수는 목록화된 것만 해도 29,000개가 넘고 이 소행성 중 지구 충돌 위협 소행성은 2,200개로 추정된다. 밤하늘을 빛내는 별 소행성이 실제 지구로 떨어졌을 때 현실은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다. 전문가들은 에펠탑 높이, 즉 300m 크기를 가진 소행성이 지구로 떨어지면 한반도는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문홍규 박사는 이런 소행성 충돌 재난을 막기 위해 미국 나사에서 진행하는 사상 초유의 인류 지구 방위 실험 다트 프로젝트에 미국의 러브콜을 받고 참여하며 대한민국 소행성 관측 기술의 위상을 높였다. 또한 칠레,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반구의 세 곳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의 KMTNet 망원경으로 해왕성 바깥 천체를 최초로 26개나 무더기로 발견했다. 이번 해왕성 바깥 천체의 발견은 물음표로 남아있는 우주의 기원에 대해 알 수 있는 열쇠로 여겨져 전 세계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시작된 그의 별을 향한 사랑은 여전히 식을 줄을 모르고, 별처럼 여전히 반짝거리며 빛나고 있다. 미지의 세계인 우주를 밝히고, 대한민국을 우주 선진국으로 이끄는 문홍규 박사의 연구 이야기를 들어보자.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한국천문연구원 #망원경 #나사 #우주탐사 #우주과학 [브라보 K-사이언티스트] 소행성의 비밀을 밝히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20621091900704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99

2017년에 관측하고 2019년에 발표한 세계 최초의 블랙홀의 영상 관측 뒤에는 수많은 노력이 숨어있다고 하는데, 그 중에는 한국천문연구원도 있다고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Zg7zdmnn9c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블랙홀 #한국천문연구원 #편광영상 #천문학 #YTN사이언스 한국도 참여한 세계 최초 블랙홀 관측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71646708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