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

대전과학문화거점센터 2023 과학자 인터뷰 시리즈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경만 선임 연구원

45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NFC 기반 인터넷 통신기술이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 국제표준으로 제정됐습니다.

127

3차원 기술을 통해 입체적인 실감형 미디어로 거듭나게 되었다. 시청자의 움직임에 따라 보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면서 현실과 같은 몰입감을 제공하는 원리는 무엇인지 오늘의 기술자를 만나본다.

0

한국 음성인식 기술 ‘세계적 수준’, 발음·에세이 평가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11월 10일 선보인 독해 교육형 AI 기술이 2023년 상용화될 계획이다. 독해 교육에 AI 기술을 도입한 것은 세계 최초로, AI 기반 언어 교육 서비스 확산은 물론 타 분야에도 적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254

한국의 양자 기술 연구 기관은 어느 곳일까?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포함하여 여러 정부 출연 연구 기관들이 한국의 양자 기술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mI1c8r8XD08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양자기술 #양자컴퓨터 #양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자소자 한국의 양자 기술 연구 기관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713141701832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다윈 이후로 인간과 동물의 경계가 허물어졌듯이, 알파고 이후로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도 점점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분류기로 태어난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는 어디쯤 일까요?

2016

국내 연구진이 오랫동안 몸속에 심어 놓아도 부식되거나 변하지 않는 유연한 신경 전극을 개발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금과 불소계 고분자를 이용해 부식 없이 장기간 신경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유연한 전극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1483

ETRI(에트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온라인 게임 속에서 플레이어들의 미래행동을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대비하는 대응 시나리오 자동생성기술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1483

국내 연구진이 기존 서버보다 집적도는 10배 이상 높으면서도 전력 소비량은 7분의 1 수준인 '초절전' 서버를 개발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여러 대의 서버를 설치할 수 있는 케이스에 최대 64개 서버를 탑재할 수 있는 고집적, 저전력 서버 '코스모스'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1442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최근 개방화 추세와 함께 오픈소스의 영향력이 매우 커지고 있다고 보고 '오픈소스센터'를 설립해 연구개발사업의 기술 활용도와 사업화를 높이고 관련 정책 수립과 대응에 나서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