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포스텍

198

국내 연구진이 카이랄 구조를 가지는 광학탄성체를 사용해 카멜레온 피부와 같은 인공 전자 피부를 개발

86

태양에너지만을 이용해 사막과 같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물을 수확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67

국내 연구진이 천연 해조류를 이용해 인공장기 재료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1417

연세대와 포스텍이 올해부터 학점과 강의를 공유하고 2~3년 내에 공동학위 수여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연세대 김용학 총장과 포스텍 김도연 총장은 서울 연세대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개방·공유 캠퍼스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1904

'연구자는 기술뿐 아니라 사회적인 이슈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멀티플레이어'라는 포스텍 이진우 교수가 오늘의 주인공입니다.

1784

국내 연구진이 천 번을 반복해서 구부려도 깨지지 않는 휘는 OLED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KAIST와 포스텍 공동 연구팀은 휘어져도 손상되지 않고 효율도 높은 플렉서블 OLED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1667

포스텍 임현석 교수팀은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인 'Skp2(에스케이피2)'가 다른 단백질과 작용하는 것을 방해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이는 항암제 후보 물질을 찾아냈다고 밝혔습니다.

0

태풍이나 우주의 성운을 관찰할 때 물체가 돌면서 나선형으로 흐르는 '소용돌이' 현상의 원리를 포스텍 연구팀이 밝혀냈다.

0

시계, 목걸이 등 웨어러블 기기로 치매와 같은 뇌질환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포항공과대)은 화학공학과 오준학 교수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과 공동으로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을 포집해 뇌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장식_포스텍_이장식

0

고도의 집적화를 통해 메모리 용량을 약 네 배 가량 높일 수 있는 유기메모리소자. 최근 스마트 기기가 발전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 유기메모리소자에 대한 관심까지 급증하고 있다. 휘어지는 전자기기는 동일하게 잘 휘어지고 유연한 부품을 필요로 하는데 그 중 플렉서블 메모리 개발은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