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2

파도

1621

바닷물 밑에서 공기의 기포를 뿜어 올려 파도를 없애는 장치이다.

1202

해저가 경사진 곳에서 진행방향이 해안과 평행을 이루는 파도로서 중력파의 일종이다. 해안 가장자리 외에서는 파고가 급격히 줄어든다. 대기압의 변동, 해일이 그 원인으로 여겨진다.

1249

너울은 저기압이나 태풍권 안에서 일어난 풍랑이 발생지역으로부터 상당히 먼 다른 해면으로 전파되거나 또는 바람이 약해진 다음에 해면에 남아 있는 물결이다.

1112

고립파는 천해파(淺海波)의 파장을 무한대로 한 극한에서 생기는 파도의 모양이다. 일반적으로 파도는 반복 운동을 수반하지만 고립파는 문자 그대로 단 하나의 파도가 솟아올라 수면 위를 진행하는 것이다.

843

바닷물 밑에서 공기의 기포를 뿜어 올려 파도를 없애는 장치이다.

2145

너울은 현장의 바람이 아닌 먼바다의 기상현상이 영향을 주며 만들어진 파도입니다. 태풍이나 강한 저기압이 다가올 때 강한 바람으로 만들어진 높은 파도가 다른 지역으로 전달돼 형성됩니다.

1208

호주국립대(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물리학자들이 수상 견인빔(water tractor beam)을 만들었다. 이 기술은 기름 유출을 제한하고, 부유 물체를 조작하거나 해변의 빠른 조류를 설명하는 근본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한다.

6103

이안류는 폭이 좁고 깊은 해저지형에서 유속이 빠른 해류가 지나가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안류에 휩쓸리면 아무리 헤엄쳐도 순식간에 바다 쪽으로 밀려갑니다.

5442

잔잔한 호수 한 가운데 돌을 던져보자. 돌이 떨어진 위치에서 사방으로 물결이 퍼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용한 방안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 문을 닫았는데도 거실에서 들리는 TV 소리 때문에 공부에 집중할 수가 없다. 잠을 자기 위해 누웠다. 집 밖의 가로등 불빛이 천장에 반사되어 잠을 들이기 힘들다. 동해안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집이 흔들린다. 잠시 후, 쓰나미가 동해안을 덮쳤다는 보도가 나온다. 물결, 소리, 빛, 지진, 쓰나미. 이 모든 것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거나 잘 알고 있는 파동 현상의 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