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지스터

0

작은 전류로 큰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세요.

7104

우리 일상은 온통 전자공학에 의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의 하루 일과만 보아도 전자공학의 선물인 각종 가전제품에 둘러싸여 있음을 알 수 있다. 핸드폰, MP3 플레이어, 게임기, 컴퓨터 등등. 이들 기기에 들어가는 아주 작은 전자칩, 전자회로 등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지금의 우리 생활은 어떠했을까? 기본적으로 원자를 구성하는 전자의 운동에 토대를 두고 있는 전자공학의 발달이 가져다 준 일상의 변화를 일일이 열거하기란 어렵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전자공학의 혁명이 현대 사회를 낳았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전자공학의 혁명을 있기까지는 오랜 준비 기간이 필요했다. 그 지난한 과정을 한번 되돌아보자.

4169

여러 가지 전자 부품을 이용하여 간단한 전자제품을 만들어 보고 그 작동 원리를 알아본다.

3136

멜로디 IC(UM-66T)에서는 음악을 전기적 신호로 내보낸다. 이 멜로디를 트랜지스터(2SC-2120)로 증폭하여 미세코일(6~8Ω)에서 전파를 발생한다. 여기서 발생하는 전파를 매우 약해서 아주 조금밖에 가지 못하는데 약 1m정도 떨어져서 AM라디오 안테나를 이용하여 들을 수 있다.

5167

1. LED에 불이 켜지는 비밀 사람의 몸은 전류가 흐르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피부에 생기는 땀은 소금물과 같아 이온성 물질이므로 전기를 잘 통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람의 몸 속에도 신경이나 근육등 전기를 일으키는 기관이 있으며 여러 형태의 변화를 뇌에

2339

  미국의 물리학자. 미네소타 대학 조교수에서 벨 전화연구소에 들어가 반도체를 연구, 1947년 점접촉 트랜지스터를 제작. 195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1951년 일리노이 대학으로 옮기고부터는 초전도의 메카니즘을 밝혀내는 연구에 몰두, 쿠퍼 및 슈리퍼와 함께 BCS이론이라 불리는 초전도 이론을 제시하여 1972년 재차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1944

  미국의 물리학자. 벨 전화연구소에서 진공관의 증폭작용을 반도체로 실현할 수 없는가라는 연구에 종사하여, 제3의 전극에 의하여 전기장을 변화시켜서 반도체 표면의 전하를 제어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발명에 성공. 이 업적으로 1956년, 버딘·브래튼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 트랜지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