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지스터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3

트랜지스터

1380

국내 연구진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전기적으로 제어해, 반도체로 만드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연세대 홍종일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 표면에 수소를 반응시켜 '수소화 그래핀'으로 만든 뒤, 전자회로에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1330

흔히 트랜지스터라고 하면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는 2개의 p-n 접합의 결합으로 구성되는데, 각각 p-n-p형의 트랜지스터 또는 n-p-n형의 트랜지스터가 된다.

892

들어오는 신호의 유무나 상관관계에 따라, 출력신호를 내보내거나 내보내지 않는 회로를 말한다

1184

주파수변조나 위상변조에 대해 검파 작용을 하는 기기를 검파기라고 한다.

0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Berkeley Lab) 알리 재비(Ali Javey ) 교수팀은 최근 1nm짜리 게이트를 가진 트랜지스터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7일자에 발표했다.

0

노벨과학상, 특히 물리학상은 과거에는 기술적인 업적으로는 수상하기가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기초과학보다는 공학, 기술적 측면의 공헌을 인정받아 상을 받는 사례가 늘고 있음은 예전에 설명한 바 있다. 그런데 얼핏 기술적인 업적으로만 보이지만 사실은 기초과학 측면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의미가 있었던 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경우도 있었다. 트랜지스터와 레이저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