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지스터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트랜지스터

0

英 양자 발전 이끈 스승과 제자, 피터 나이트 명예교수-김명식 교수 인터뷰

0

표준연 "스커미온 활용 메모리 소자 개발 앞당길 기반 기술"

0

1947년 트랜지스터(transistor)가 개발되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반도체와 컴퓨터도 없었다. 트랜지스터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부품이라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발명으로 인해 전자기기들은 비로소 지금과 같은 모습의 초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됐다.

2305

입체 구조의 칩 설계 및 공정 기술로, 기존 평면 구조의 반도체 칩보다 전류 능력이 향상되었다.

0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가 사상 최초로 ‘초박형 이색 재료에서 손실이 거의 없이 전하를 이동시키는’ 전자 스위칭 시연에 성공했다. 이 실험은 실온의 저전류 전기장에서 이루어졌다. 이번 시연 성공으로 새로운 ‘위상 트랜지스터’ 개발에 한발 다가서게 됐다.

1947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첨단과학 산업.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특별한 기술이 우리나라에서 개발된다? 최소면적에 최대용량을 담는다! 새로운 대한민국 반도체 기술을 공개한다.

0

오늘날에는 그다지 쓰이지 않지만 과학기술과 인류 문명 발전의 새로운 장을 연 중요한 기술들이 적지 않은데, 증기기관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전기전자분야에서 그런 예를 든다면 진공관을 꼽을 수 있다.

3291

미국의 물리학자. 반도체의 표면현상을 이론적으로 연구했고 정류층 연구 도중 그의 협력자 브레튼과 함께 최초로 트랜지스터를 완성했다. 1956년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초전도 이론(BCS이론)을 완성하여 1972년도에 다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0

휴대전화 등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고성능 유연(flexible) 트랜지스터가 개발됐다.

1352

국내 연구진이 빛으로 전기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우선 내부에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구멍이 있는 다공성 실리콘이 평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빛을 쪼여주면 전류가 천만 배 이상 증폭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