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172

스포츠로 수학을 체험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 개그맨 송필근과 김유경 선생님이 평창으로 향했다! 앉은뱅이 배구를 해보면서 각도 이해하기, 볼링으로 즐겁게 연산하기, 발야구로 도형과 비율 이해까지 스포츠로 재미있게 수학 공부하는 방법 모조리 공개! 체육으로 수학 흥미 키우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수다학으로 놀러 오세요!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스포츠 #수학 #각도 #연산 #통계 [즐거운 수학여행] 스포츠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099&hcd&key=20221107115415291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50111

꽃잎을 하나씩 뜯으며 마음에 둔 사람이 나를 좋아하는지 고민해 본 적이 있는가? 요즘 말로 하자면 이런 상대를 ‘썸남’ 또는 ‘썸녀’라고 부를 것이다. 호의는 있는 것 같긴 하지만, 아직 완전히 사귀는 건 아닌 상황에서 밀고 당기다 보면 서로 상대의 마음이 어떨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2317

지난 10년 동안 전 세계 암 환자 수가 3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 워싱턴대 연구팀은 32개 암과 관련한 195개 나라의 각종 통계를 종합 분석한 결과 2005년 1,313만 명이었던 암 환자 발생 수가 지난해 1,748만 명으로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2218

최근 3년 동안의 시·군·구별 암 환자 발생률이 처음으로 공개됐는데 위암은 충북 보은이, 간암 발생은 경북 울릉군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여러 가지 통계상 한계가 있을 수도 있지만 지역별 암 발생률 자료가 처음 나왔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2409

9월 1일은 통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통계 활용을 권장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지정한 통계의 날인데요. 1896년 우리나라 근대 통계의 시작으로 평가되는 호구조사규칙이 최초로 마련된 날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120년이 지난 지금, 우리 생활 속에서는 어떤 통계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요?

0

지난 10일 미국 인간유전학회(ASHG; American Society of Human Genetics)에서 캘리포니아 대학 로스엔젤레스의 에릭 빌레인(Eric Vilain)교수와 턱 응운(Tuck Ngun)박사 연구팀이 발표한 '게이 유전자' 관련 연구를 기억하시는지?

6755

과학이 가진 힘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왜 사람들은 도덕의 문제나 정치에 관한 논쟁에서 자기와 상반된 견해를 가진 사람의 이야기를 좀처럼 수긍하지 않으려 하면서도 과학의 성과에 대해서는 선생님 말씀을 경청하는 어린아이 같은 나긋나긋한 마음을 가지게 되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