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태양

0

[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행성들의 합, 정렬 그리고 오로라

0

우주 먼지 태양빛 차단 시뮬레이션…달 먼지가 가장 효율적

0

[기고] 태양전지의 작동 원리와 양자역학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태양전지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라고 하면 태양으로 인해 발생한 열이 아니라, 태양에서 온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를 말한다. 양자역학과 크게 관련이 없을 것 같지만, 놀랍게도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이 처음 정립되기 시작한 20세기 초에 나왔던 이론들이 태양전지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0

[JWST 첫 관측 결과 해석] (3) 행성상 성운 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 해석” 시리즈는 사이언스타임즈 리포터이자 천문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제임스 웹의 관측 결과 해석,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등에 대해 설명하는 연재 코너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는 한국 시각으로 7월 12일 오후 11시 30분(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12일 오전 10시 30분)에 NASA TV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분광 스펙트럼은 총 5가지로, SCAMS 0723 은하단, 뜨거운 가스 외계 행성 WASP-96b(분광 스펙트럼), 남반구 고리 성운으로 알려진 NGC 3132 성운, 슈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 그리고 용골 성운의 NGC 3324 가장자리 ‘우주 절벽’ 등이 있다. (관련 기사 보기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첫 관측결과를 공개하다’)

0

[JWST 첫 관측 결과 해석] (3) 행성상 성운 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 해석” 시리즈는 사이언스타임즈 리포터이자 천문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제임스 웹의 관측 결과 해석,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등에 대해 설명하는 연재 코너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결과는 한국 시각으로 7월 12일 오후 11시 30분(미국 동부 표준시로 7월 12일 오전 10시 30분)에 NASA TV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분광 스펙트럼은 총 5가지로, SCAMS 0723 은하단, 뜨거운 가스 외계 행성 WASP-96b(분광 스펙트럼), 남반구 고리 성운으로 알려진 NGC 3132 성운, 슈테팡의 오중주(Stephan’s Quintet), 그리고 용골 성운의 NGC 3324 가장자리 ‘우주 절벽’ 등이 있다. (관련 기사 보기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첫 관측결과를 공개하다’)

220

정지 궤도 위성은 지구로부터 3만 6천 킬로미터 떨어진 우주에서 해양을 관찰한다. 지구 반지름 5배 이상의 거리에서 어떻게 정밀한 조사 및 관찰을 할 수 있을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mAQAZ8IbaXc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정지궤도위성 #해양위성 #천리안 #태양 #YTN사이언스 정지 궤도 위성을 돕는 태양의 빛 에너지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617163939566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22

태양으로 인한 지구 종말 시나리오 #태양 #지구종말 #지구

293

태양계 질량의 99.9%는 태양이다. 그리고 태양 또한 별이기 때문에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태양이 사라지거나 너무 커져버리면 지구의 생명체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까? 태양으로 인한 종말 시나리오를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nha2_jBlVRU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태양 #지구멸망 #종말 #멸종 #우주과학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426164649157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45

우주환경연구센터에선 태양을 여러 파장으로 나눠서 관측한다. 왜 여러 파장으로 구분 지어서 관측할까? 그리고 왜 태양의 자기장을 관측하는 걸까?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 ※ ▶ Full 영상: https://youtu.be/1ApUvtrhws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태양 #자기장 #블랙홀 #반앨런대 #YTN사이언스 태양의 자기장을 관측하는 이유는?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426143013796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20

우주에서 조심해야 하는 것은 소행성 뿐만이 아니다. 인공 우주 물체 또한 조심해야 하고, 태양의 폭발인 플레어 현상 또한 조심해야 한다. 우주의 위험 요소에 대해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1ApUvtrhws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 #인공우주물체 #인공위성 #발사체 #태양 #플레어 YTN 사이언스 홍종현 (hjh1239@ytn.co.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426135623407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